거리 - 역제곱법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586회 작성일 12-06-13 23:50
본문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삼각시차를 이용한 별의 거리의 측정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때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별의 밝기의 역제곱법칙을 이용하게 된다. 이 방법은 지구에서 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별의 밝기가 어두워진다는 것이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별의 실제 밝기(방출하는 에너지량)를 알고 있다면 관측자가 그 별을 보았을 때 실제보다 얼마나 어두워졌는가 알아내면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별에서 발산된 빛(에너지)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그 빛이 지나가는 표면적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더욱 어두워진다.
별의 겉보기밝기(플럭스;flux)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별의 겉보기 밝기(flux)란 1초동안 감지기(예를들어 우리의 눈, CCD)의 단위표면적 1cm2 면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양이다. 밑에 보여지는 그림처럼 어떤 점에서 빛에너지가 사방으로 방사해 나간다고 하자. 그 빛은 처음 1초동안 작은 구에 도달할 것이다. 그 구의 단위 표면적 1cm2에 통과하는 에너지량이 1이라고 한다면, 그 다음 1초동안 빛은 2배의 거리를 가게 되고 단위표면적 1cm2을 통과하는 에너지량은 처음의 1/4로 줄어들게 된다.마찬가지로 3초가 되면 거리는 3배가 되고 단위표면적당 에너지량은 1/9로 줄어든다. 그 이유는 빛에너지의 총량은 변하지 않으며 구의 표면적의 넓이가 A = 4πr2 이기 때문이다.

다시 정리하면 각 구를 통과하는 빛에너지량은 같다.
즉, L1 = L2 (L1, L2는 각 구를 통과하는 빛에너지의 총량) -------- ①
또, 구의 표면적은 4p × (해당 구의 반경)2 이므로 ----------------②
①,②로부터
F1 × 4p r12 = F2 ×4p r22 (F1,F2 는 각 구의 플럭스이고 r1,r2는 해당 구의 반경이다.)
결과적으로 F1 = F2 × ( r2 / r1)2 이다.
위의 식에서 F2와 r2을 알고 있으면(이들은 기준점에서의 값이다) F1과 r1의 관계가 역제곱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거리가 증가하면 플럭스(빛의 겉보기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대해 감소한다.

반대로 플럭스가 감소하면 별의 거리는 그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그럼으로 만약 별의 표면에서 나오는 순수한 빛에너지 량과 지구에서 측정한 별의 빛에너지량을 알면 우리는 바로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천문용어 : Vocabulary
플럭스(별의 겉보기 밝기) : Flux
빛의 밝기의 역제곱법칙 : Inverse Square Law of Light Brightness
빛의 밝기의 역제곱법칙 : Inverse Square Law of Light Brightness
공식 : Formulae
- 역제곱법칙 : (A거리에서 밝기) = (B거리에서 밝기) × [(거리 B)/(거리 A)]2. (단 거리 B는 기준점의 거리이다.)
- 거리 = 기준점의 거리 × √[기준점의 플럭스/관측된 플럭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