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역학(天體力學,Gravitational Astronomy)은 물리학의 역학의 원리를 천문학에 응용하여 천체, 주로 태양계 내의 행성 ·위성 ·달 ·혜성 등의 운동을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입니다. 세부적으로 천체의 궤도측정·섭동운동·2체문제·다체문제·천체의 자전·공전운동 등은 천체역학의 대상입니다.
천체역학의 발전사
"); html.document.write("뉴턴(Newton, Isaac)
잉글랜드 동부 링컨셔의 울즈소프 출생. 수학에서의 미적분법 창시, 물리학에서의 뉴턴역학의 체계 확립…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3
조회 1014
더보기
|
위치천문학(位置天文學, Astrometry)은 다른 말로 측성학(測星學)이라고도 불리며 천구상의 천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거나 천체의 운동을 연구하는 천문학입니다.
위치천문학의 발전사
위치천문학은 천문학분야중 가장 오래된 천문학 분야입니다. 이것은 오랜 고대때부터 별들의 움직임을 측정해 계절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측정하는데 기초가 되었고 이것을 기준으로 달력과 시계를 만들어내게 되었습니다. 위치천문학은 점성술에도 많이 쓰였으며 왕권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중세시대때 위치천문학의 발달로 태양계의 행성들과 달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3
조회 1075
더보기
|
천문학은 시대적으로는 보통 19C말 이전과 그 이후의 천문학으로 나누어지며 방법론적으로는 어떤 대상이냐 또는 어떤 방법을 가지고 논하느냐에 따라 나눠집니다. 시대적으로 19C말 이전(보통 제 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합니다.)에 발달된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천체역학(天體力學:gravitational astronomy)분야와 천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측지학(測地學:geodesy)의 연구를 하는 위치천문학(位置天文學:positioning astronomy, astrometry ,측성학-測星學이라고도 합니다.)을 들 수 있으며 1…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2
조회 1054
더보기
|
별의 수명은 사람의 수명에 비해 훨씬 길다. 당신의 아주 먼 선조들도 오늘밤에 당신이 보게될 똑같은 별을 보았다. 우리의 수명은 년으로 계산된다. 별의 수명은 백만년 단위이다. 별의 시간 단위가 엄청남에도 불구하고 별이 어떻게 태어나고 살고 죽는지를 아는 것은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별이 어떻게 일생이 어떻게 지나가는지와 어떻게 별의 수명이 계산되어 지는 지에 관해서 다룰것이며, 마지막으로 백색왜성, 중성자별, 블랙홀에 관해서 다룰 것이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1
조회 1065
더보기
|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천문학에서는 특별히 등성(登星)또는 등급(等級;magnitude)이라는 용어를 쓴다. 기원전 150년경에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Hipparchos)에 의해서 육안으로 보이는 별의 밝기를 수치적으로 1등성부터 6등성까지 나타내었다. 1등성은 육안으로 보이는 가장 밝은 별들이고 6등성은 가장 어두운 별인 것이다. 히파르코스가 썼던 이 등급체계는 정확한 별의 밝기를 나타낸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1등성과 2등성사이에 있는 별을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17세기 초에 망원경이 발명되어 6등성보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1
조회 1866
더보기
|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삼각시차를 이용한 별의 거리의 측정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때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별의 밝기의 역제곱법칙을 이용하게 된다. 이 방법은 지구에서 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별의 밝기가 어두워진다는 것이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별의 실제 밝기(방출하는 에너지량)를 알고 있다면 관측자가 그 별을 보았을 때 실제보다 얼마나 어두워졌는가 알아내면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별에서 발산된 빛(에너지)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그 빛이 지나가는 표면적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더욱 어두워진다.
별의 겉보…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0
조회 1585
더보기
|
다른 부류의 과학과는 달리 천문학은 관측을 행하게 된다. 왜냐하면 천문학에서 다루는 물체는 우리가 실험실에서 다룰 수 없는 우주의 천체이기 때문이다. 먼저 우리는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천체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그들과의 거리를 측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곧은 자로 그곳까지 거리를 측정한다든가 우주선을 보내서 거리를 측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레이더를 이용해서 반사되는 신호를 보내어 천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도 없다. 왜냐하면 레이더는 고체의 표면에서만 반사되지 별과 같이 뜨거운 가스로 둘러싸인 표면에선…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8
조회 1689
더보기
|
별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항성을 의미한다. 항성이란 핵융합반응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한다. 이런 항성에는 태양이 포함이 된다. 그러므로 천문학에서는 별을 행성이나 위성이 아닌 항성을 가리키는 말이 된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7
조회 1004
더보기
|
별들(Stars)은 지구와 행성들간의 거리보다 수천, 수백배 이상의 거리에 있다. 가장 가까운 별(태양을 제외)을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빠른 우주선을 타고 간다해도 그곳에 도착하는데 거의 수천년이나 걸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별이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살아가다 죽는지 알고 싶어하는 호기심과 야심을 가지고 있다. 어떻게 그렇게 멀리 떨어진 별을 연구해 나갈 수 있을까? 여기서 우리는 별들에 관해 배우고 연구하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이것을 알아가는데 있어서 약간의 수학적 기호가 나오니 잘 염두하면서 하나하나씩 익혀보도록 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7
조회 945
더보기
|
<< 천문학을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
서울대학교 이형목 교수의 글
1. 꿈과 현실 최근 어느 여론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들이 가장 바라는 장래 직업 1위에 천문학자가 꼽힌 일이 있다고 한다. 이 조사 결과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일반적 성향을 완전히 대변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천문학을 동경하는 젊은 학생들이 많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현실은 이런 여론 조사와 부합하지는 않는다. 대학에서 천문학과가 결코 인기학과는 아니다. 오히려 경제적 안정성을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삼는 최근 세태에…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6
조회 929
더보기
|
천문학 소개 Introduction : ASTRONOMY 천문학(天文學:ASTRONOMY)이란 우주 전체에 관한 연구 및 우주 안에 있는 여러 천체(天體)에 관한 연구를 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천문학은 인류문명이 시작되는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점성술(占星術)이나 달력의 작성과 관련을 가지고 발달되었으므로 자연과학 가운데 가장 일찍 시작된 학문입니다. 또, 천체의 관측으로 지구 위에서의 위치가 알려지는 원리는 항해하는 데 이용되어 이런 목적으로 천문학은 크게 발달되어 17세기에 망원경이 발명된 후 프랑스의 파리천문대, 영국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5
조회 942
더보기
|
혼천의와 혼천시계
천원지방(天圓地方) - 하늘은 둥글고 땅은 사각형 이라는 중국의 우주관
혼천설- 우주를 달걀에 비유하여 하늘이 노른자위에 해당하는 땅을 둘러싸고 일주운동을 한다는 우주관
혼천의- 혼천설을 바탕으로 일월성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구, 천체운동을 여러 개의 환으로 옮겨놓아 계절과 시각의 변화를 알아내는 필수적인 천체관측기
혼천의 구성 - 기본적으로 3개층의 환으로 구성1. 바깥층(육합의) - 동서남북을 나타내는 삼신환, 적도환, 황도환, 백도환으로 구성2. 맨 가운데 층(사유의) - 사유환과 망통,…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40
조회 1151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고구려에서 전해 내려온 천문도를 바탕으로 1395년 조선 태조 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병자호란 때 불타버린 경복궁 안에 그러한 천문도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모르다가 영조 때 불타버린 경복궁터에서 다시 발견되었고 지금은 덕수궁 궁중유물전시관에 있다.
1. 이름의 뜻
천상(天象) : 하늘의 모습이란 뜻이다. 옛날에는 하늘에 해, 달, 다섯행성, 별, 혜성, 별똥별,
은하수정도만 있다고 여겼다.
열차(列次) : 차에 따라 벌…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39
조회 968
더보기
|
선조 40년 정미 6월에 호서(湖西)와 영남에 우박이 왔다. 우박의 크기는 오리알만하였는데, 새가 맞아 죽고 풀과 나무가 죽었다. 함경 남도에는 우박과 서리가 와서 날씨의 춥기가 겨울과 같았다. 또 사람의 쓸개를 뺀다는 소문이 퍼져 대낮에 성 안에서도 사람이 혼자 다니지 않았다. 지방에까지 이 말이 전파되어 8도가 다 그렇게 되었다. 인심이 흉흉하여 두려워했으며 길에는 사람이 끊어졌는데, 두어 달 후에 비로소 안정되었다. 10월에 혜성이 삼태성(三台星) 사이에 나타났는데 꼬리 문창성(文昌星)과 북두성의 큰 별을 가리키고 길이는 십여…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38
조회 906
더보기
|
《한서(漢書)》에 말하기를, “미성(尾星) 4도(四度)로부터 두성(斗星) 6도에 이르기까지 석목(析木)의 자리로써 연(燕)의 지역에 해당되니, 어양(漁陽)ㆍ우북평(右北平)ㆍ요서(遼西)ㆍ요동(遼東) 등의 땅이며, 낙랑(樂浪)ㆍ현도(玄菟)도 마땅히 여기에 포함된다.” 하였다. 《문헌비고》 ○ 위(魏) 나라 태사령(太史令)진탁(陳卓)이 말하기를, “미성 10도로부터 남두성(南斗星) 11도까지는 석목(析木)의 자리이며 연의 지역에 해당되니, 요동은 미성 10도에 들어가고, 발해(渤海)는 기성(箕星) 1도에 들어가며, 낙랑은 기성 3도에 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38
조회 832
더보기
|
ꋫ艮은 북두칠성이 간(艮) 곳인가? 지난 주 북두칠성이 동북 간(艮)에서 떠서 서남 곤(坤)으로 진다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작은 논란이 있었다. 그리고 혹자는 우리는 동북 간방(艮方)의 기를 강하게 받기 때문에 이 방향에 대해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고도 말한다. 이러한 논란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은 천문상의 방위를 지상에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북두칠성은 우리를 중심으로 저녁에 간방(艮方)에 보이기 시작하여(떠올라) 자정에는 손방(巽方)에 있다가(남중(南中) 하였다가) 날이 밝으면 곤방(坤方)…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37
조회 958
더보기
|
상단 그림 : 마르둑 원통 인장/ 천문학에 관련된 고대의 지식은 상당히 중요하다. 그것은 농사를 짓는 시기와 계절의 변화등 인간의 의식주와 밀접한 관련을 맺기 때문이다. 이집트에서는 시리우스가 신성시 되었는데 이는 나일강의 범람과 시리우스의 출현이 같은 시기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결국 별을 숭배하는 의식은 인간의 먹거리와 상관 관계가 아주 깊다고 하겠다. 하지만 아프리카 말리 공화국의 도곤족은 먹거리와는 별개로 시리우스의 반성에 대한 심오한 전승 신화를 갖고 있다. 도곤족의 이러한 신화는 머리 호프에게 이집트의 암몬신도가 보내온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34
조회 1011
더보기
|
Our Sun is not unique in the universe. It is a common middle-sized yellow star which scientists have named Sol, after the ancient Roman name. This is why our system of planets is called the Solar System. There are trillions of other stars in the universe just like it. Many of these stars have their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25
조회 880
더보기
|
요트에 관련된 용어들은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어 처음 듣는 사람에겐 생소한 단어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외우기보다는 세일링 실습을 하면서 단계별로 필요한 용어들을 익혀나가는 것이 가장 좋다.
용어
설명
데크(deck)
요트 갑판
딩기(dinghy)
주로 1~4인승 소형요트를 말한다.
러닝(running)
요트의 뒤쪽에서 부는 바람을 등지고 항해하는 것.
러더(rudder)
요트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장치로 방향타라고도 불린다.
리칭(reaching)
요트가 크로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11:24
조회 959
더보기
|
방패 연 만들기
1. 마름질 비행물질이므로 정교함을 요구한다. 가로 : 세로 --- 1:1.3(가로 33cm 이하일 때) 예)가로 32cm일 때 세로 41.5cm 가로 : 세로 --- 1:1.2(가로 33cm 이상일 때) 예)가로 60cm일 때 세로 48cm
2. 재 단 가로 40cm 세로48cm의 연을 제작하는 경우 [아래 그림 참고…
작성자챠이브
작성일 10-08-18 11:12
조회 167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