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천문학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광학천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998회 작성일 12-06-13 23:57

본문

광학천문학( 光學天文學 Optical Astronomy)이란 한마디로 눈으로 관측하는 천문학입니다. 현대에는 광학천문학을 전자기파(電磁氣波) 중에서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가시광선(可視光線)의 영역(파장범위 400∼800nm)에서 천문관측을 실시하고 물리법칙에 적용하는 천문학이라고 정의합니다.

갈릴레이(Galilei, Galileo)
갈릴레이가 만든 광학망원경
광학천문학은 갈릴레이에의해 망원경이 실제로 천체관측 응용됨에따라 혁신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광학천문학은 다른 전자기파의 파장대를 관측하는 것과 달리 그 역사가 인류의 문명이 탄생했을때 부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눈이 가시광선의 영역만을 감지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시광선은 다른 전자기파에 비해 그 범위가 매우 협소하여 우주를 전부 이해하는데 너무 부족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실제로 천체들은 가시광선뿐 아니라 자외선, X선과 같은 파장의 전자기파도 많이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광학천문학은 지금까지 무시될 수 없는 분야인 것은 어쨌든 우리가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전자기파는 가시광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학천문학은 지금까지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