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분광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123회 작성일 12-06-13 23:56
본문
천체분광학(天體分光學 Astronomical Spectroscopy)은 천체를 분광학적으로 연구하는 천체물리학의 한 분야로서 1814년 J.프라운호퍼의 태양 스펙트럼 관측이 그 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천체분광학은 목적은 천체의 복사(輻射)를 스펙트럼으로 분해하여 사진이나 광전관(光電管) 등을 사용해서 기록하고 가시광선인 경우에는 망원경에 프리즘 또는 회절격자(回折格子)를 사용한 분광기를 부착시켜서 관측함으로써 천체의 연속스펙트럼, 휘선(輝線) 및 흡수선 스펙트럼을 양자역학(量子力學)의 지식을 활용해서 해석하고 천체의 물리적 상태를 탐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항성의 스펙트럼에서는 화학조성, 대기의 구조(밀도 ·온도 ·이온화상태 등), 자기장(磁氣場)의 세기, 난류(亂流), 별의 회전, 절대광도, 시선속도(視線速度)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가시광선에 그치지 않고, 자외선 ·적외선 ·전파영역에까지 넓혀져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파영역에서 성간공간(星間空間)에 있는 분자(히드록시기 ·물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의 선(線)스펙트럼이 뒤이어 발견되어, 전파분광학의 분야가 매우 활발히 발전되어 가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