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전형적인 별이라 할까?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무엇을 전형적인 별이라 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497회 작성일 12-06-16 03:23

본문

우리의 태양은 종종 "평균" 또는 "전형적" 중년기의 별로 불리운다. 이 "평균"이란 것은 과연 무슨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가?
  1. 주변의 별들과 비교하여 태양은 밝고 뜨거우며 크다.
  2. 분명히 밝은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어둡고 차가우며 작은 별이 된다.
  3. 구상성단내의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정말 젊다.
  4. 산개성단내의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이미 환갑을 지낸 노인과 같다.
우리 은하내의 별들중 한 별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관측하는 경우 그것들은 어떤 모습일까? 이렇게 선택된 별들은 전형적인 별들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아래의 그림은 매우 밝은 100개의 별들과 가장 가까운 100개의 별들의 위치를 H-R도에 점으로 찍어 나타낸 것이다. 이 데이타들은 최근에 공개된 히파르코스의 관측 자료이다. 우리의 하늘에서 밝게 보이는 별들은 우주의 어디에서도 밝게 보인다. 그림에서는 다이아몬드로 표시하였다. 가까운 별들은 태양으로부터 7.63 pc내의 거리에 위치한 것들이고 역삼각형 모양으로 나타내었다. 가까운 별들의 대부분은 차갑고 희미하다.
여러 종류의 별들로부터 여러가지 결과가 나타난다
선택된 별들을 비교하는 또 다른 방법은 각 그룹별로 분광형의 비를 알아보는 것이다. 아래에 보인 그림처럼 대부분의 밝은 별들은 뜨겁고 광도가 큰 A, B형들이다. 이 중에는 매우 뜨거운 O형 별들도 포함된다. 밝은 별의 전체는 아니지만 일부는 K형 별로서 거성이나 초거성들이다. M형은 모두 거성과 초거성들이다.
가까운 별들의 그래프는 매우 다르게 보인다 : 대부분의 별이 차갑고 희미한 K나 M형 별들이다. 단 하나의 별만이 거성이며 나머지는 주계열의 별들이다.
밝은 별과 가까운 별들의 분광형 비율
이 별들이 우리 은하내 별들의 종족을 대표할 수 있을까? 대표적 표본(representative sample)은 우리가 알고자 하는 모든 별들의 종족을 포함한다. 보통별들의 비율은 드믈게 보이는 별들이 차지하는 비율보다는 클 것이다. 사실상, 특이한 별은 이렇게 적은 수의 대표적 견본(sample)내에서 찾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말 그대로 너무 드믈기 때문에!
잘못 선택된 샘플로부터 어떤 편견이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편견들은 사물이건 사람이건 어디에서든 생겨나기 마련이다. 다수에 의해 무언가를 결정하는 공무원이나 정치인들은 그들과 다른 믿음이나 생각을 가지는 사람들은 주로 그들에 대한 편견을 가진 사람들과 일하는 경우라고 말한다. 여론을 조사하는 사람들은 1000이나 2000여명의 사람들로부터 조사한 자료를 수백, 수천만 국민의 전체 의견으로 반영한다. 그들은 실질적으로 전체를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으로부터 얻은 자료로 정확한 결과를 얻어낸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것을 대표하는 집단을 찾는다는 자체는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천문학에서의 상황은 이보다는 어렵지 않으며 표준 통계의 방법으로 별들의 대표적 견본을 구할 수 있다.
별들의 종류의 예에서 밝은 별의 집단은 매우 편향되어 있다. 밝은 별 집단내 각 별 사이의 거리는 가까운 별 집단의 상호간 거리보다 무려 20배나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로 하여금 밝은 별들과 희미한 별들이 어떻게 흩어져 있는가에 대해 대략적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한다. ---밝은 별들은 차갑고 희미한 별들보다 훨씬 더 크게 흩어져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우주 공간에는 밝은 별들보다는 희미하고 차가운 별들이 훨씬 많을 것이다. 이렇게 희미한 별들은 먼 거리에서 당연히 밝은 별보다 눈에 쉽게 노출되지 않으며, 겉보기 밝기에 근거하여 선택된 별들은 거대한 수의 희미한 별들에 대한 대표적 표본이 될 수 없다.
편향된 샘플로부터 매우 잘못된 결과가 도출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