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속도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별의 속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945회 작성일 12-06-16 03:19

본문

별들의 속도는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로 구할 수 있다. 우리가 지구에서 감지하는 파장은 별들의 운동으로 초기의 파장과는 달라지게 된다. 별이 운동하지 않는다면 방출된 파장의 길이는 초기와 다르게 측정되지 않는다. 스펙트럼 선들의 특징은 별 그 자체의 내부 특성과 관계가 있다. 도플러 효과는 우리와 연관된 공간에서 운동하는 별들의 외부적 특성에 의존한다. 편이된 파장의 길이는 Δλ= λ관측 파장 - λ초기 파장이다. 편이된 양은 별들의 속도와 관계가 있다: Δλ/λ 초기 = (시선속도) / c, 여기서 c는 광속이다. 시선속도(radial velocity)는 별의 운동 속도 성분 중 하나로 우리의 시선 방향에 놓인 속도 성분이다. 그러므로 시선속도 =Δλ/λ초기) × c.로 구할 수 있다.
도플러 효과로 시선속도를 구할 수 있다.
만일 별이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는 경우, 우리는 초기보다 길어진 파장을 측정하게 되고 여기서 Δλ의 값은 0보다 커진다. 스펙트럼 선들은 스펙트럼의 끝의 붉은색 쪽에 나타나므로 우리는 이를 적색편이(redshift)라고 한다. 별이 우리쪽으로 다가오는 경우에 파장은 짧게 나타나며 Δλ값은 음수가 된다. 스펙트럼 선들은 푸른 색쪽에 보이므로 이를 청색편이(blueshift)라고 한다. 도플러 효과는 우리에게 상대적인 운동에 대해 말해 준다. 우리가 별을 향해 다가가거나 또는 별이 우리쪽으로 다가올 때, 이 도플러 효과는 같아질 것이다. 지구는 태양의 주변을 돌고 있으므로 별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도플러 효과로 별들의 속도를 구할 때, 지구의 궤도 운동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또한 도플러 효과로 시선속도를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별들은 우리의 시선에 대해 각을 이루며 움직인다. 별의 전체 속도를 이루는 성분의 하나로 시선 속도에 수직인 성분을 접선속도(tangential velocity)라고 한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속도인 접선 속도
접선 속도를 구하려면 각속도(/dt)를 알아야한다. 각속도는 일정한 시간 동안 별이 어느 정도의 각만큼 이동해 갔느냐 하는 것으로 천문학자들은 고유운동(proper motion)으로 부른다. 별까지의 거리를 삼각법이나 역제곱 법칙을 이용해 구하는 경우 우리는 각속도(고유 운동)를 접선속도로 k/s단위로 바꿔야 한다. 접선 속도 = k × 별까지 거리 ×고유 운동, k는 변환 요소로 아크초, 파섹, 년을 k/s의 단위로 바꾼 것이다. 직각 삼각형에 대해서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여 별의 총속도를 구할 수 있다.
별의 속도= Sqrt[(시선속도)2 + (접선속도)2].
3차원에서 별의 총속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