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령 블랙홀에 자꾸만 접근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주선을 타고 블랙홀에 접근해 가는 사람과, 블랙홀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 선에서 관측을 하는 두 사람을 가정해 봅시다. 우주선을 타고 블랙홀에 접근하는 사람은 강한 중력에 이끌려서 가속되어, 사상의 지평면을 지난 것을 모르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갑자기 시공간이 특이점에서 끝나고 맙니다. 이 경우 우주선은 강한 조석력으로 찢겨지겠죠. 태양 질량 정도의 블랙홀의 사상의 지평면을 지날 때, 신장 약 2m인 사람의 머리와 발끝 사이에 10억 G(만유 인력 상수 )나 되는 조석력이 걸리기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7
조회 1313
더보기
|
1. 춘, 추분날 낮의 길이는 정확히 12시간이다.천문학적인 춘, 추분날은 엄밀히 말해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가 적 도와 일치하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지 낮과 밤의 길이가 정확히 일 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서울 지방(37.5°N) 의 경우 이 날의 낮의 길이는 대략 12시간 8분 정도이다. 이것은 지구에 대기가 있어 태양빛이 굴절률이 더 큰 매질 쪽으로 굴절하 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낮의 길이가 조 금 더 길어지며, 그 차이는 고위도로 갈수록 커진다. 진공의 굴절 률은 0이…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6
조회 1579
더보기
|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는 약 1억 5천만 km입니다 거기다가 태양까지가는 거리 빛의속도로 간다면 : 8분 18초... 소리의속도로 간다면 : 14년 8개월 로켓의속도로간다면 5개월(1초/11 km) 시속 150km의 기차가 가면 114년 3개월... 사람이 걸어서가면 4270년....
우주의 온도는 몇도일까요?답은 영하 270입니다. 이를 다른 말로는 절대온도 3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조심할 것은 영하 270도라고 하여도, 물같은 것이 얼지 않는다는것입니다. 물이언다는 것은 물의 에너지를 다른 물질이 뺏…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5
조회 1631
더보기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낮에 보이는 태양이다. 그러나 태양도 지구에서 약 1억 5천만 Km나 떨어져 있다. 사실 이 거리는 우주에서는 극히 짧은 거리이다. 밤하늘의 별등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은 지구로부터 약 4.2 광년 떨어져 있는 켄타우루스자리의 프록시마라는 별이다.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을까? 우주에는 우리가 속해 있는 은하와 비슷한 은하가 100억개 정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각 은하에는 또 100억개나 되는 별들이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주에는 약 10^22개 정도의 별들이 있…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4
조회 3033
더보기
|
우리의 태양은 종종 "평균" 또는 "전형적" 중년기의 별로 불리운다. 이 "평균"이란 것은 과연 무슨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가?
주변의 별들과 비교하여 태양은 밝고 뜨거우며 크다.
분명히 밝은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어둡고 차가우며 작은 별이 된다.
구상성단내의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정말 젊다.
산개성단내의 별들과 비교하면 태양은 이미 환갑을 지낸 노인과 같다.
우리 은하내의 별들중 한 별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관측하는 경우 그것들은 어떤 모습일까? 이렇게 선택된 별들은 전형적인 별들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아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3
조회 1497
더보기
|
별들은 수소 흡수선의 세기에 따라 여러가지 분광형(spectral types)으로 분류된다. 수소 흡수선이 강한 순서로 A, B, F형...등으로 나누어진다. 원래는 수소선의 세기에 따라 알파벳의 순서로 별들이 분류되었으나, 천문학자들이 수소선의 세기가 온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함에 따라 그것은 변하게 되었다. 또한 앞에서도 이미 논의되고 그림도 제시하였듯이 온도가 높은 별과 낮은 별에서 동시에 같은 수소선의 세기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수소선외에 다른 원소의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른 원소나 이온의 스펙트럼선은 수소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2
조회 1501
더보기
|
흡수선의 세기와 특징은 별들에 따라 차이가 있다. 어떤 별들은 매우 강한 수소선을 , 또 어떤 별들은 수소선은 보이지 않고 강한 칼슘선이나 나트륨선을 보인다. 그러면 그들의 양도 다양할까?그렇지 않다. 과학자들이 원자 물리에 대하여 연구할때, 그들은 별의 광구 온도가 우리가 측정하는 스펙트럼선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측정된 스펙트럼의 흡수선과 그 세기로 별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별들이 형성되는 가스 성운들로부터 측정된 스펙트럼선으로부터, 그 양이 어디에서든 비슷함으로 확인된다.
별의 온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1
조회 1755
더보기
|
대부분의 별들은 매우 좋은 성능을 가진 망원경으로 보아도 볼펜 끝의 볼만한 크기로 보인다. 우리에게서 너무 멀리 있기에 그들의 각지름과 거리만으로 그들의 실제 직경을 구하기란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다. 식쌍성(Eclipsing binaries)들은 별들의 직경을 구하는데 간접적으로 이용되는 별들이다. 이 쌍성계는 두 별들이 같은 궤도 평면에서 우리의 시야와 평행한 각도로 서로의 주변을 돌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궤도의 가장 자리에 위치한 관측자의 시점으로 이 별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이것은 곧 한 별이 다른 별을 주기적으로 가린…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0
조회 1688
더보기
|
쌍성계-- 두 별이 한 점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있는 계--에서 별들의 질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케플러의 제 3법칙을 적용해야 한다. 두 별의 질량 합이 클수록 중력 가속도는 더 커지며, 궤도 주기는 짧아지게 된다. 은하내에 있는 수십억, 수백억개의 별들의 대부분은 둘 또는 셋 이상씩 짝을 지어 서로의 주변을 돌고 있다. 대개 보이는 쌍성들은 분광 쌍성(spectroscopic binary)들이다. 우리에게서 매우 멀리 떨어져 분광 쌍성계를 자세히 관측하기는 어려우나, 한 점을 중심으로 서로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으므로 스펙트럼을 통해…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0
조회 1967
더보기
|
별들의 속도는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로 구할 수 있다. 우리가 지구에서 감지하는 파장은 별들의 운동으로 초기의 파장과는 달라지게 된다. 별이 운동하지 않는다면 방출된 파장의 길이는 초기와 다르게 측정되지 않는다. 스펙트럼 선들의 특징은 별 그 자체의 내부 특성과 관계가 있다. 도플러 효과는 우리와 연관된 공간에서 운동하는 별들의 외부적 특성에 의존한다. 편이된 파장의 길이는 Δλ= λ관측 파장 - λ초기 파장이다. 편이된 양은 별들의 속도와 관계가 있다: Δλ/λ 초기 = (시선속도) / c, 여기서 c는 광속이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19
조회 1945
더보기
|
별의 구성요소는 분광학(spectroscopy)을 통해 결정된다. 분광학이란 분광=스펙트럼을 이용하는 무언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홈페이지의 교양천문학 부분에서 전자기복사 부분을 보면 스펙트럼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복습할 수 있다. 또한흡수선과 방출선등 여러가지 재미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별들에게서 태양과 비슷한 흡수선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별들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가스가 수소와 헬륨이며, 약간의 다른 가스들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별들의 구성 성분 이외에 우리는 흡수선에 대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18
조회 1561
더보기
|
별은 가스로 뭉쳐진 뜨거운 공이므로, 이들은 천천히 그러나 연속적으로 스펙트럼을 만들어 내는 완전 열복사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별들의 색은 그들의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푸른 색에 가깝고 낮을수록 붉은 색을 띠게 된다. 우리는 별들의 대략적 온도를 알기 위해 이런 색과 온도와의 관계를 이용하며, 이 때 여러 가지 필터(filters)가 사용된다. 필터는 파장의 전체 영역을 보는데 사용되는것이 아니라 어느 일부 영역에 이용된다. 두 가지 다른 파장 영역대에서의 별의 분광형 샘플링(표본)을 통해 어느 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18
조회 1868
더보기
|
별들에 대하여 동쪽으로 이동해 가는 다른 천체들도 여럿 있다. 그 천체들은 바로 행성이다. 행성을 뜻하는 "planet"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리스에서는 "방랑자"를 의미했다고 한다. 우리는 맨 눈으로도 이 행성들을 관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울 것도 많이 있다. 지구에서는 맨 눈으로 5개의 행성들을 볼 수 있으며 이들은 각 각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다. 그러나 정말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천왕성을 포함하여 6개의 행성들을 볼 수 있다. 이 행성들은 모두 황도로부터 7도 안 쪽에서 운동하고 있다. 이것…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16
조회 1939
더보기
|
월식(lunar eclipse)이제부터는 월식과 일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식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그림자를 지나게 될 때 일어나는 자연 현상임을 명심하자. 앞부분에서 언급했듯이 그림자는 두 개의 부분으로 되어있다: 본영과 반영.본영(umbra)은 그림자의 전체로서 매우 어두운 부분이다. 반영(penumbra)은 본영의 바깥부분으로 본영보다 덜 어둡다. 달이 지구의 본영을 지나게 될 때, 달 위의 관측자는 태양을 전혀 볼 수 없다.---이 때 달 위의 관측자는 일식을 보게 된다. 동시에 지구에서 달을 바라보는 관측…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16
조회 1849
더보기
|
우리가 바라보는 달의 면은 항상 같으나 늘 쟁반같이 둥근 달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 달은 처음 초승달에서 상현달, 그리고 보름달을 거쳐 하현달, 다시 초승달로 돌아온다. 이렇게 달이 제 모습들을 규칙적으로 바꾸는데 걸리는 시간은 29.53일이며 이 시간주기를 달의 삭망월 주기(synodic period)라고 한다.
아래의 글을 클릭하면 100~2199년까지 달의 위상 변화를 볼 수 있다. 1800~2199년까지 날짜와 시간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달의 위상은 태양이 달을 어떤 각도에서 비추는가와 지구, 달, 태양의 상대적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8
조회 1958
더보기
|
우리의 달은 주변의 별들에 대해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한다. 달은 24시간에 자그만치 13도(달의 직경의 26배 정도)나 돈다.-- 이것은 달의 각지름이 0.5도인 것을 생각할때 한 시간에 0.5도씩 이동한 것은 달이 엄청난 속도로 움직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달의 이러한 빠른 운동은 천문학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수 천년 동안 그것은 달력의 기초가 되어왔다. 아이삭 뉴턴은 지구 주위를 도는 이러한 달의 운동으로 부터 중력 법칙을 발견할 핵심적인 정보를 얻었다.
일년 동안 달을 자세히 관측하는 동안 우리는 항상 달…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7
조회 1326
더보기
|
각 계절의 온도가 다른 이유는 주어진 시간에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에너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항상 같은 온도를 유지하려면 반드시 받은 열만큼 우주로 방출(복사)해야만 한다. 만일 얻은 열이 잃어버린 열보다 많게 되면, 그 곳은 온도는 당연히 높아진다. 반대의 상황에는 물론 더 추워질 것이다. 왜 지역에 따라 주어진 시간동안 받는 열의 양이 달라지게 되는 것일까?
계절에 따라 온도가 다른 이유는 가끔 다음의 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된다: 그 첫째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원이 아닌 타원이라는 것이고, 두번째는 지구 공전면에 대해 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6
조회 1703
더보기
|
별들에 대한 태양의 실제 운동이 일정치 않음으로 인해 우리는 여러가지 혼동을 빚게된다. 이렇게 태양의 운동이 불규칙해 보이는 이유는 별들 사이에서는 동쪽으로 운동하는 태양이 천구 적도에 대해서는 황도의 북쪽이나 남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떤 때 태양은 평소보다 더 빠른 속도로 동쪽으로 이동해 간다. 사실상 태양시(우리가 따르는 시간)는 태양이 그리는 운행 궤적이 천구적도에 대해 평행함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실제 태양의 움직임과 천구의 적도를 따라 일정하게 운동하는 평균 태양 (mean sun)…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6
조회 1322
더보기
|
당신보다 동쪽에 있는 사람들은 태양이 먼저 남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콜로라도의 덴버에 사는 사람들은 로스엔젤레스에 사는 사람들보다 52분이나 먼저 태양이 남중하는 것을 본다. 역시 지방 정오도 로스엔젤레스보다 52분이나 빠르다. 왜냐하면 덴버는 서경 105°의 지역인 반면 로스엔젤레스는 그 보다 더 서쪽인 서경 118°에 있기 때문이다.(두 지역은 13°차가 난다). 당신으로부터 경도가 1°씩 차이가 날 때마다 지방 정오시는 4분의 차가 나게 된다.
모든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지역의 지방 정오시를 기준으로 하여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5
조회 1150
더보기
|
태양일과 항성일(Solar and Sidereal Day)우리의 시간는 태양일에 기초하여 흐르고 있으며 태양은 별들에 대해 매일 1도씩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곧 우리가 오랜 기간을 두고 별들을 관측하게 되는 경우 별들이 매일 4분씩 일찍 뜨고 지게 되는 것을 뜻한다. 우리의 시계는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에 기초하므로 별들이 매일 4분씩 일찍 뜨고 지는 것은 별들이 23시간 56분의 주기로 일주운동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주기는 별들에 대해 측정되는 값이므로 우리는 이를 항성일(idereal day)이라 한다. 이것은 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5
조회 178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