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55
조회 1514
더보기
|
밤하늘 강좌 - 수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54
조회 1389
더보기
|
밤하늘 강좌 - 금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53
조회 1265
더보기
|
화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51
조회 1174
더보기
|
목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50
조회 1100
더보기
|
밤하늘 강좌 - 토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49
조회 1173
더보기
|
밤하늘 강좌 - 천왕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47
조회 1442
더보기
|
해왕성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45
조회 2164
더보기
|
88개 현대 별자리의 넓이 순 목록이다.
순위
별자리
넓이 (평방도)
비율
1
바다뱀자리
1302.844
3.16%
2
처녀자리
1294.428
3.14%
3
큰곰자리
1279.660
3.10%
4
고래자리
1231.411
2.99%
5
헤르쿨레스자리
1225.148
2.97%
6
에리다누스자리
1137.919
2.76%
7
페가수스자리
1120.794
2.72%
8
용자리
1082.952
2.63%
9
켄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43
조회 1618
더보기
|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다. 1928년 국제 천문 연합(IAU)에서 정한 88개의 별자리가 쓰이고 있다. 별자리는 3차원 상의 실제의 별의 배치와는 그다지 관련은 없다. 공인된 별자리는 아니지만 북두칠성이나 봄의 삼각형처럼 널리 쓰이는 것은 성군(星群)이라고 한다.
서양의 별자리
역사
현재 쓰이는 별자리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한 48개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후 일부 별자리가 나뉘고(예: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8 21:42
조회 1643
더보기
|
천문학에서 눈으로 보는 별의 밝기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겉보기 등급'이라는 것을 사용해왔다. 별의 등급은 가장 밝은 것이 1등급, 가장 어두운 것이 6등급으로 분류해 왔는데 1등급의 별은 6등급에 비해 100배 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1등급의 별의 밝기 차이는 100 1/5 = 약 2.512 배 가 된다. 그러므로 3등급과 1등급의 차이는 2.512 * 2.512 배가 된다.
천체망원경으로 볼때 별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아무리 배율을 크게 한다고 해도 태양이나 달처럼 크게 확대해서 볼 수 없다. 천체망원경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6
조회 1379
더보기
|
빅뱅 10^(-44)초후 - 무에서 탄생 우주는 "무" 에서 탄생했습니다. 우주는 어디서 어떻게 하여 탄생하였을까요. 최근의 우주론은 이 의문에 대하여, 우주는 "무에서 태어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무에서의 우주 창생론"은 비랭킹에 의해 제출되었습니다. 그는 "무"란 시간, 공간, 물질, 에너지가 없는 상태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이러한 무에서는 영원히 아무것도 생기지 않을 것처럼 보이겠죠. 그런데 양자론의 입장에 서면 사정은 전혀 달라집니다. 양자론은 매우 짧은 시간에서는 시간이나 공간, 그리고 에너지는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5
조회 1268
더보기
|
열역학 법칙과 관련된 글입니다. 좋은 글입니다 조금 길지만 끝까지 읽어주십시요.. 내용은 대충 이렇습니다. 엔트로피라는 법칙이 있는데 그 법칙때문에 시간이 흘러간다고 인식된는 것이고요. 미래로 시간이 흘러간다라는 말을 이해하게 합니다. 실제로 알지 못했던 것들을 쉽게 설명한 자료 입니다. 꼭 읽어주시고요. 모르는 말이나 글이 있다면 질문 부탁바랍니다. 우주에 관한 블랙홀도 좋고 웜홀도 좋으니 다른 자료를 원하시면 대답을 해주시던가 메일을 보내주세요. 성심성의껏 설명을 해 드리겠습니다. Arrow of Time ( 시간의 화살 ) 시…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4
조회 1115
더보기
|
오디세이아는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이타카 Ithara의 고향집으로 돌아오는 험난한 여정을 묘사하고 있다. 그는 수많은 모험을 하는데 그때마다 기지를 발휘해서 위기에서 벗어난다. 사람을 잡아먹는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 Polyphemos에게 잡혔을 때는부인과 함께 그에게 술을 먹여 취하게 해서 그의 외눈을 불로 지진 다음에 양들의 배 밑에 숨어 있다가 탈출하여 그 추격을 뿌리친다. 오디세우스는 사람을 돼지로 변신시키는 마녀 키르케 Circe도 성공적으로 물리친다. 그 다음에 그는 로렐라이 언덕의 전설처럼 노래를 불러 선…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3
조회 1308
더보기
|
광속에가깝게 비행하는 우주선 안의 시간은 지구보다 천천히 진행된다. 이러한 효과를 생각하여 우주선의 속도와 운항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면 원리적으로는 미래의 원하는 시대로 가는 일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무리 애를 써서 미래에 갔어도 현재로 돌아와서 그 내용을 모두에게 알리지 않는다면 미래로 갔다는 사실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또 돌아오지 않는다면 비행사는 미래에서 '립 밴 윙클'이 되어 고생만 할 것이다. 시간 여행은 과거로 갈 수 있어야만 비로소 의미가 있는 것이다. 1988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손 교수 팀이 그와 같은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2
조회 1184
더보기
|
<수백만 광년의 거리를 10여 년에 이동할 수 있는가?> 지구에서 대(大) 마젤란 은하까지는 16만 광년, 안드로메다 은하까지는 230만광년이나 된다.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가더라도 몇 십만 년이나 걸릴 것으로 생각된다. 길어야 100년 정도의 인간의 일생동안에는 도저히 갈 수 없을 것 같다. 그런데 초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다면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도 매우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고속으로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은 늦어진다. 이 효과를 생각하면 수백만 광년 거리의 은하까지도 10여 년만에…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1
조회 1124
더보기
|
<광속에 가깝게 운동하는 우주선에서 빛을 보면 어떻게 보일 것인가?> "만일 사람이 빛의 파(동)를 뒤에서 빛과 같은 속도로 뒤쫓아간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16세의 아인슈타인은 이 문제에 골몰하였고, 그것이 10년 후의 특수 상대성 이론의 탄생을 낳았다. 두 대의 차가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 차를 타고 있는 사람에게는 상대방의 차도 자신의 차도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광속에 가깝게 운동하는 우주선에서 빛을 본다면 어떻게 보일 것인가? 갈릴레오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도 우주선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1
조회 1127
더보기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그 때까지의 시간과 공간의 생각을 크게 변화시켰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고속으로 운동하는 물체의 길이가 줄거나, 시간의 경과가 늦어지는 등의 불가사의한 현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우주 여행을 하면서 상대성 이론이 예언한 시간과 공간의 불가사의한 세계로 독자 여러분을 초대한다. 제목 : 상대성 이론이 해명하는 시간과 공간의 불가사의한 세계 <우주 여행을 가능하게 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우주여행은 가능한가?] 우주를 여행할 수 있다면……. 누구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30
조회 1136
더보기
|
나사에서는 현제 외계인을 찾으려는 계획이 진행중이다 바로 나사에서 진행중인 세티프로그램이지요. 그렇다면 세티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우주의 어딘가에 지구인보다 지능이 뛰어난 생물이 있을 것으로 보고 탐사하여 교류하려는 계획. 지구외문명탐사계획의 하나로서 사이클롭스계획이 있다. 우주에는 은하계와 같은 성운이 1000억 개가 있고, 또 은하계에만도 태양과 같은 항성이 약 2000억 개가 존재하며, 그 10 %인 약 200억 개의 항성은 태양처럼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그렇다면 그 많은 행성계 안에는 지구와 같이 광(光)에너지를 받아서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9
조회 1315
더보기
|
밤하늘의 별들은 아름다운 보석처럼 반짝입니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은 더욱 반짝입니다. 이렇게 별이 반짝이는 것은 바로 지구의 대기가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아지랑이가 피어오를 때 땅이 흔들려 보이거나, 물 밖에서 강바닥에 있는 돌을 쳐다볼 때 돌의 형태가 흔들려 보이는 것과 같은 현상입니다, 이러한 대기의 움직임은 별을 아름답게 보이게는 하지만 관측에는 방해가 됩니다, 별이 흔들려 보이면 정확한 관측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천문대를 세울 때 상층 대기의 흔들림이 없는 곳을 택하는 것도 이 때문ㅇㅣ며. 우주 공간으로 망우너경을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6 03:28
조회 129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