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망원경(Astronomical Telescope)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천체망원경(Astronomical Telescope)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2,750회 작성일 12-06-18 22:26

본문

 
천체망원경이란 말 그대로 천체를 관측하기위한 망원경이다. 우선, 천체 망원경의 구조를 살펴보자면 망원경은 렌즈와 광학 기기들이 있는 경통과 아래에서 받쳐주는 것인 가대(Mount)가 있다. 천체 망원경을 크게 분류하자면 굴절식반사식, 굴절식 이렇게 3가지로 분류 된다.

gujo.gif

굴절식 망원경은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한 점에 빛을 모으며, 이렇게 맺혀진 상은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확대하여 관측하게 된다. 접안렌즈는 교환이 가능하며 이를 바꿔 줌으로써 배율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율은 망원경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는 아니다. 굴절식에는 육안관측용의 실시망원경과 천체사진 촬영용의 사진망원경의 구별있다. 주로 쌍안경에는 갈릴레이식을 쓰지만 천체 관측용으로는 케플러식이 쓰인다. 굴절식은 색수차가 있다. 따라서 상의 색이 무지개 빛으로 보일수 있다. 그리고 구경이 그다지 크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다.

※색수차 : 백색광이 렌즈를 통과할 때 꺾이는 정도가 파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한 점에서 초점을 이루지 못하고 번지는 것을 말한다.

반사 망원경은 빛의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경통으로 들어온 빛은 오목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빛을 모으고 상을 맺게 한 후 접안렌즈로 그 상을 확대해 보게 된다. 반사 망원경에는 2개의 반사경이 사용되는데 그 각각을 주경(주반사경), 부경(부반사경)이라고 부른다. 오목 거울인 주경은 굴절 망원경에서 대물렌즈와 똑같은 역할을 하고 일반 거울인 부경은 주경이 모아 주는 빛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사식은 거울을 이용해서 빛을 모으기 때문에 색수차가 없고, 대구경의 망원경을 제작할수 있다. 주로 천문대의 돔안에 장착 되어있다.

그 밖에 넓은 시야를 가지는 슈미트 망원경, 태양관측용의 탑망원경 등도 천체망원경의 일종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