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마음을 빚어내다.-백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슬리 댓글 0건 조회 2,081회 작성일 11-10-17 08:58
본문
백자. 많이 들어본 이름이지요? 고려 하면 청자이고 조선 하면 백자이듯이 백자는 마치 조선의 그릇을 상징하는 것처럼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그릇들과 관련해서 흔히 갖게 되는 오해 중 하나는 청자가 미학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백자보다 우수한 그릇이라는 것입니다. 청자가 워낙 아름다운 그릇이다 보니 그런 선입견이 생긴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미학적으로는 몰라도 적어도 기술적으로는 백자가 청자보다 앞선 그릇이랍니다. 조선이 백자를 주요 그릇으로 선택한 이유 중 하나가 백자가 청자보다 더 우수한 그릇이었기 때문입니다. |

청화백자. 코발트로 표면에 파랗게 문양을 그려넣는다. <출처: Claire Houck at en.wikipedia.org>
조선의 미학과 세계관을 형상화한 백자
|
사대부가 지향하는 청렴과 순백함을 반영

|
백자의 종류

|
|
비대칭 형태에 녹아있는 멋과 여유

|

비대칭과 자유분방한 멋을 잘 보여주는 백자(왼쪽)과 해학과 익살을 보여주는 백자(오른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