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두어야할 와인상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678회 작성일 10-10-16 00:24
본문
꼭 알아두어야할 와인상식 '와인잔 씻을때는 세제 사용치 마라'
레드와인은 채소에도 어울려
▶와인을 마실때 기본적인 상식을 갖추고 있으며 훨씬 더 좋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와인을 받을 때 잔을 들지 마라?
'와인을 받을 때 잔을 들지 말라'고 가르친다.(서양에서야 원래 잔을 들고 술을 받는 문화가 없으니 당연히 그렇게 가르칠 수밖에 없다.) 와인 잔은 반드시 다리를 잡아야 하고 둥근 볼을 잡으면 결례
인 것처럼 알고 있다.
심지어 손의 열이 와인의 온도를 변화시켜 맛을 버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와인 잔을
잡을 때 얼마나 오래 붙들고 있는다고 와인의 온도가 올라갈 지경이 되겠는가.
또 우리나라 예법상 상사가 따르는 술잔을 바라보고만 있는 것 또한 예의는 아니다.
◇장기 보관 와인은 온도만 맞추면 된다?
그랑크뤼와인처럼 고급 와인을 가지고 있다면 보관에 있어서 매우 신경 써야 한다. 20년 가량 보관이 가능한 와인의 경우 와인 냉장고에서 온도를 적절히 맞춰 주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중간에 코르크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코르크의 생명이 20년 이상이긴 하지만 장기 보관 시 손상돼 부득이 교체해야 한다면 보관주기가 길어질수록 증발하는 성질을 감안해 와인 회사에 의뢰해 와인을 보충한 후 교체해야 한다. 일부 와인은 코르크가 교체된 날짜를 빈티지에 표시하기도 한다.
◇다 마신 잔은 깨끗이 씻어야 한다?
와인은 향을 즐기는 술이므로 와인잔을 닦을 때는 세제를 사용하면 안 된다. 맛과 향과 색을 즐기기 위해 종류에 따라 다른 잔이 추천될 정도다. 세제를 써서 뽀득뽀득 소리가 날 때까지 닦아버리면
표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워져서 와인 특유의 '눈물'(와인이 잔 안쪽으로 눈물처럼 흘러내리는 현상)을 볼 수 없게 된다.
씻은 후 보관도 잘해야 한다. 다른 그릇처럼 찬장 속에 뒤집어 넣어두면 찬장 특유의 냄새가 배므로 금물이다. 제일 좋기는 와인잔을 거꾸로 매달아 두는 전용 걸이에 보관하는 것이다.
◇와인은 오래 될수록 좋다?
와인은 원료 포도의 품종 및 자라난 조건에 따라 이상적으로 마실 수 있는 시기가 정해지며 보관 및 숙성의 기간도 짧은 것은 1, 2년 긴 것은 10, 20년 어떤 것은 50년도 넘게 보관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대개는 1년 안에 혹은 2~3년 안에 마셔야 하는 것이 주종을 이룬다. 오래 될수록 좋다는
이야기는 장기 보관 가능한 와인이 많이 생산되는 보르도나 부르고뉴의 와인 위주로 초기 국내에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발포성 와인은 다 샴페인이라 불린다?
샴페인(Champagne)은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 생산된 발포성 와인만을 일컫는다.
안동에서 안동소주 기법으로 생산된 술에만 안동소주라는 이름을 붙이듯이 프랑스에서는 명칭을
엄격히 규제하여 타 지역의 발포성 포도주에는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절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같은 발포성 와인이라도 스페인에서는 카바 독일에서는 섹트 이탈리아는 스푸만테 미국은
스파클링 와인이라 불린다.
◇육류는 레드 와인 생선은 화이트 와인?
오랜 세월 동안 프랑스 미식가들이 경험을 통하여 정립한 권유사항일 뿐이며 원칙은 아니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마시면 그만이다. 특히 야채 위주의 한식에도 레드와인이 잘 어울리는 경우가
있으며 맑은탕 등의 요리에는 화이트 와인이 잘 어울리는 경우도 있다.
◇레드 와인만이 건강에 좋다?
레드 와인이 심장 질환 예방 및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도되면서 레드 와인이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는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가 되었다. 하지만 레드 와인 못지 않게 화이트 와인 또한 건강에 좋다.
우선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와인 안의 폴리페놀이 레드 와인과 비교해 보면 화이트 와인이 약간
적은 편이다. 특히 화이트 와인은 알코올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위에 부담이 적고 식욕의 조정을
돕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