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골퍼가 공을 똑바로, 그리고 멀리 보내기를 희망한다. 그러기 위해서 정말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며 여러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렇게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성과가 있는 기술도 있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쉽게 효과적인 골프 스윙과 결과를 얻어 낼 수 있는 기술도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볼 포지션(ball position)을 제대로 정하는 것이다.

클럽의 열림과 닫힘, 그리고 스윙 패스(swing path)를 보면 다운 스윙에서 임팩트 존(impact zone)에 오기 직전까지만 해도 클럽 헤드는 목표선 보다 열려 있으면서 몸 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다가 임팩트에서는 직각이 되고, 다시 임팩트 이후에는 클럽 헤드가 닫히면서 안쪽으로 진행된다.

또한 티 위에 올려져 있는 볼을 치는 드라이버 샷과 클럽 헤드가 위에서 밑으로 내려오면서 임팩트가 되는 아이언 샷은 볼을 가격하는 형태가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볼 포지션은 볼의 방향과 구질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볼 포지션을 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드라이버 샷은 왼발 뒤꿈치 앞쪽, 미들 아이언 샷은 스탠스의 중앙, 숏 아이언이나 웻지 샷은 보다 오른발에 가깝게 두는 방법이다.(사진1, 2, 3) 이때 클럽에 따라 볼 포지션을 오른쪽으로 옮기는 정도는 조절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클럽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샷에서 볼의 위치를 왼발 뒤꿈치 앞쪽에 두는 방법이 있다. 볼의 위치는 변화가 없지만 클럽이 짧아질수록 스탠스의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국은 볼의 위치가 몸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된다.(사진4, 5, 6)

따라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법이 전혀 다른 접근이라기보다는 정도의 차이로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을 가진 서양 프로들의 경우에는 두 번째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우리나라 골퍼들이나 상체의 근육이 발달한 골퍼들, 그리고 초·중급의 골퍼들에게는 첫 번째 방법을 권유하고 싶다.

클럽에 따라서 볼 포지션을 이동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클럽에 따른 이상적인 가격의 형태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정확한 임팩트를 갖기 쉽고, 다운 스윙을 인사이드에서 아웃사이드로 만들어 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중급 골퍼들 중에는 뒤땅 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들 아이언과 그 이상의 클럽도 볼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과도하게 옮겨 놓고 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오히려 체중 이동을 원활히 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더 좋지 않은 습관을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