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립을 유지한다는 것은 어드레스시의 그립의 모양을 스윙이 마무리 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하며 양손으로 견고하게 그립을 잡고 있는 것을 말한다. 어드레스 시에는 좋은 그립을 가지고 있다가도 백스윙의 탑에서나 피니시에서는 그립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사진1·2)
이렇게 스윙 중에 그립을 유지하지 못하고 손과 클럽의 그립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면 클럽이 출렁거리고, 다운 스윙에서 코킹이 일찍 풀리며 그립이 돌아가거나 임팩트 시에 충격량을 이기지 못해 거리를 손해보고 클럽 페이스가 돌아가서 방향성을 잃게 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그립의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립을 잡을 때 양손에서 주도적으로 힘이 주어지는 부분으로는 왼손의 마지막 세 손가락, 오른손 검지, 그리고 오른손 생명선 부위(왼손 엄지를 가압), 이렇게 세 부분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스윙 중에 흔히 힘을 빼고 친다는 느낌을 갖기 위해서 백스윙의 탑과 피니시에서 그립의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로는 양쪽 팔꿈치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다. 양쪽 팔꿈치의 간격은 어드레스에서 백스윙의 탑, 그리고 피니시까지 일정하게 유지해야 된다. 그러나 이 간격이 유지 되지 않고 백스윙 탑에서 오른 팔꿈치가 지면을 향하지 못하고 들리게 되거나 임팩트 후 왼 팔꿈치가 역시 지면을 향하지 못하고 들리게 되면 양쪽 팔꿈치의 간격이 벌어지고 손이 클럽의 그립에서 떨어지게 된다.
결국, 백스윙 탑에서 왼손이 클럽의 그립에서 떨어지면 악력의 유지, 특히 왼손 마지막 세 손가락이 주축이 돼서 그립을 지속적으로 잡고 있는지 점검하고, 오른손이 떨어진다면 오른 팔꿈치의 들림을 점검해야 한다.
피니시에서는 왼손이 그립에서 떨어지면 왼쪽 팔꿈치의 들림을 점검하고 오른손이 떨어지면 그립의 강도 유지와 양쪽 팔꿈치의 간격을 점검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을 고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첫 번째, (사진3)과 (사진4)에서와 같이 그립하면서 클럽의 그립과 양손, 그리고 양손 간에 겹쳐지는 부분 3~4곳에 티를 꽂아 두고 스윙해서 티를 떨어트리지 않게 해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로 된 옷걸이를 양팔에 끼고 어드레스와 백스윙 탑, 그리고 피니시까지 취해 보는 것이다.
그러면 양쪽 팔꿈치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그립을 피니시까지 견고하게 잡고 있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