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치로 못을 박을 때를 생각해 보자. 망치를 잡은 손을 들어 올리면 팔꿈치와 손목이 접히게 된다. 그러다가 망치가 못을 때리기 직전까지는 그 접힘을 유지하다가 순간적으로 팔꿈치와 손목이 펴지면서 못을 박는다. 예전 어른들이 회초리로 아이들을 훈계할 때도 역시 이런 형태는 마찬가지다. 이를 일반적으로 혹은 다른 스포츠에서는 스냅(snap)이라고 표현을 한다.세밀하게 구분한다면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어도 맥락상으로는 골프에서도 이와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골프에서는 이것을 레이트 히트(late hit)라고 한다.백스윙의 탑에서는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9
조회 1850
더보기
|
골프 스윙에서 머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골프 스윙에서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둘 다 일반 골퍼들이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이며 이러한 것들로 인해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동작들이 발생한다. 그 결과 중 하나가 장타를 치는데 방해를 받는 것이다.오른손 골퍼 스윙의 경우, 체중 이동은 양발의 가운데에서 오른발 안쪽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왼발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축을 형성하게 된다.클럽과 샷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어드레스 시의 체중은 스탠스의 가운데에 위치한다(사진 1). 이것이 백스윙의 탑에서는 (사진 2)와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8
조회 1708
더보기
|
골프 속설 중에 ‘장타자가 교타자는 되어도, 교타자가 장타자는 못된다"라는 말이 있다.이 말은 단순히 교타자는 장타자가 될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골프 스윙을 익힐 때 정확하게 치는 것에만 치중하게 되면 나중에라도 멀리 치는 것은 어렵게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골프 스윙을 처음 배울 때부터 정확하게 치는 것과 더불어 멀리 칠 수 있는 요건을 갖춘 스윙을 익혀야 한다.따라서 장타를 치기 위한 방법 중 첫 번째로 몸의 꼬임과 풀림에 대해 알아본다.골프와 같이 양발이 지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제자리에서의 스윙으로 최대의 비거리를 확보하기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7
조회 1677
더보기
|
어드레스(address) 상태에서 몸과 양 손의 간격은 올바른 스윙 패스(swing path), 스윙 플레인(swing plane)과 직결되며, 안정감이 있으면서 파워있는 스윙에 영향을 준다. 몸과 양 손의 간격은 몸과 공과의 거리를 결정짓기 때문에 프로 골퍼들의 경우는 어드레스의 마지막 단계에서 스탠스를 고정하기 전에 양발을 지면에서 들었다 놓았다 하는 동작을 통해서 몸과 공과의 거리를 조절한다.몸과 공과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가까우면 스윙하는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6
조회 1814
더보기
|
▲그림 1지난 1993년에 타이거 우즈(Tiger Woods)가 세계적인 티칭 프로인 부치 하먼(Butch Harmon)을 찾아갔을 때, 부치 하먼은 타이거 우즈의 스윙을 교정하기 위해 가장 먼저 어드레스(address)에서의 몸의 자세부터 바꾸어 주었다.부치 하먼은 당시 타이거 우즈의 다소 구부정한 등(척추)을 곧게 펴주고 그 만큼 무릎을 살짝 굽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골프 스윙을 위한 어드레스를 갖게 해줬다.자세가 불안정하거나 몸이 구부…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5
조회 1229
더보기
|
골프공을 목표 방향으로 정확히 날려 보내려면 목표 방향으로 정확히 겨냥해야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그러나 실제로 많은 골퍼들이 목표방향으로 클럽 페이스(club face)를 직각으로 만들고 몸 전체를 목표방향과 평행하게 정렬하는 에임(aim)에는 소홀한 경우가 많다. 골프 중계방송을 보면 프로 골퍼들이 어드레스 한 상태에서 캐디가 뒤에서 제대로 에임을 했는지 확인해주고 물러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아무리 좋은 스윙을 가지고 있더라도 몸의 정렬이 목표방향과 평행하지 못하고 목표의 오른쪽이나 왼쪽을 향한 상태에서 스윙을 한다면,…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5
조회 1328
더보기
|
골프 그립을 하는데 있어서 그립의 모양 만큼 중요한 것이 손에서의 느낌이다. 느낌이 좋으려면 그립의 방법과 더불어 그립의 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그립을 할 때 얼마만큼의 힘으로 강하게 잡는가에 관한 문제는 골프 스윙에서 타이밍, 리듬, 클럽 헤드의 스피드, 릴리스의 컨트롤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결국, 스윙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그립을 너무 약하게 잡을 경우에는 스윙 시 클럽이 출렁거리거나 임팩트 시 그립이 돌아갈 수 있고 타이밍을 잃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반대로 그립을 너무 강하게 잡게 되면 팔…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4
조회 1214
더보기
|
현대 골프의 창시자라 불리는 벤 호건(Ben Hogan)은 "그립(grip)이 스윙의 70%를 차지한다"고 했을 만큼 골프에서 그립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프로 골퍼들의 경우도 샷에 문제가 생기면 가장 먼저 점검하는 것이 바로 그립이다. 그러나 일반 골퍼들은 그립의 중요성을 너무나 쉽게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그립의 방법과 순서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①클럽 페이스가 목표 방향을 향하도록 클럽을 지면에 놓는다.②놓여진 클럽 페이스는…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3
조회 1496
더보기
|
골퍼들은 직경이 4㎝ 남짓 되는 골프공을 멀게는 500m 이상 되는 거리에 있는 지름 10.8㎝의 구멍(hole)에 넣겠다고 막대기 같은 도구(club)를 이용해서 잔디밭에서 4~5시간 동안 이리치고 저리치고 다닌다. 그러면서 모든 골퍼들은 최대한 적은 타수를 희망한다. 그러나 최대한 적은 타수로 라운드(round)를 원하고 싱글 핸디캡(single handicap)의 소유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골프를 본인이 하고 싶은 대로 편하게 하는 것과 제대로 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골프는 야구나 테니스, 탁구 등과 같이 도구…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3
조회 1117
더보기
|
△목적완전하고 균형잡힌 피니시에 도달했다는 것은 전체적으로 좋은 스윙을 했다는 증거가 된다. 피니시 자세의 이상적인 모델을 세우고 이를 실제 스윙에도 적용시켜보면, 의식적으로 하는 작은 노력들로 인해 스윙의 기초적인 부분들을 많이 얻을 수 있다.많은 골퍼들은 볼을 쳐야 한다고 생각하여 임팩트를 중점적으로 연습한다. 임팩트는 클럽헤드와 볼이 접촉하는 순간의 아주 짧은 시간으로 느끼는 것과 계속해서 행동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좋은 임팩트는 클럽헤드의 스위트 스팟에 맞고 가능한 오래 접촉해야 한다. 피니시를 잘 하지 않는…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2
조회 1087
더보기
|
사이드힐(발끝이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이룬)에서 어프로치샷을 할 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공은 놓여진 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방법을 생각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공의 위치가 발보다 낮은 곳에 있을 경우 스윙은 필연적으로 수직형이 되며 오른쪽으로 휘어지도록하는 사이드스핀이 걸리게 된다. 이런 경우 평상시보다 공에 가까이 서 체중을 약간 왼쪽으로 싣는 듯하는 것이 좋다. 또한 허리는 약간 깊게 굽히면서 목표의 왼쪽을 겨냥하는 듯한 자세를 취한다. 만약 공의 위치가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1
조회 1540
더보기
|
어프로치샷을 끝내고 그린을 향해 걸어갈 때부터 그린의 형상을 잘 관찰하는 것이 곧 퍼팅을 판단하는 제1스텝이다. 어떤 그린이라도 기본적인 지형에 의한 경사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그린 가까이에서 보는 것보다 5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보는 것이 그린 전체의 경사 상태를 파악하고 스피드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짧은 어프러치를 할 때는 공이 어디에서 어떻게 굴러가는지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골퍼들은 무신경할 만큼 핀을 곧바로 어프러치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퍼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의 깊게 어프러치 해야 한다. 때…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0
조회 1217
더보기
|
루틴이란? 스윙을 하기 전후에 행해지는 일련의 습관화된 행동적·심리적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많은 골퍼들은 연습장에서 습관처럼 몸에 익은 잘못된 루틴으로 인해 실전에서 좋지 않은 스윙과 임팩트를 경험하게 된다.골퍼들은 좋은 샷과 좋은 구질에 볼을 임팩트하면 바로 그 감각을 잊지 않기 위해서 모든 행동이 전에 스윙했던 감각에 맞추게 되고 짧은 셋업으로 인해 스윙조차 점점 더 과감하게 이뤄진다.반대로 나쁜 스윙을 할 때는 잘못된 자세를 찾고 오래시간의 셋업과 좋은 샷을 구사 할 때까지 여러 방법들을 동원해 찾으려 할 것이다.물론 결과…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50
조회 1292
더보기
|
클럽 중에서 가장 길고 로프트가 적은 것이 드라이버다. 드라이버는 표준체격(신장 165~175㎝)인 경우 평균 로프트 각도 10도가 적당하며 샤프트는 43~46인치로 길고 가벼운 것이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드라이버 샷은 어드레스에서 체중을 양발에 균등하게 유지하고 바른 체중이동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 스윙은 항상 일정하게 해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는 의식적으로 어퍼스윙을 하기 때문에 미스샷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드라이버샷은 넓은 스탠스로 왼발 앞에 티업된 볼을 치는 것이므로 어드레스에서 이미 어퍼블로 자세가 이루어…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9
조회 1196
더보기
|
피치샷(pitch shot)은 스윙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볼을 때리는 감각을 체득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샷으로 여겨진다.골퍼는 감각을 통해 어느 정도 볼을 멀리 보내야 할 것인지를 알고 있어야 하고 특정의 최장거리 보다 짧은 거리가 필요할 때는 같은 클럽이라고 해도 스윙을 작게 하면서 볼을 확실하게 때리지 않으면 안 된다.좋은 피치샷을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있다.첫째는 올바른 자세이다. 풀 샷 이하의 샷이 요구될 때에는 풀샷 이하의 백스윙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반적으로 잘못은 테이크백을 크게 하면서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8
조회 1355
더보기
|
만약 자신의 골프 실력을 향상 시키고 기록을 줄이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면 10-90법칙을 따라해보라. 10-90법칙은 연습시간 중 10%는 긴 게임에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피칭과 치핑, 벙커 플레이와 퍼팅을 포함한 쇼트 게임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치핑과 피칭은 많은 골퍼들이 자칫 얕보기 쉬운 과정이다. 이 부분을 연습하고 기초가 튼튼한 테크닉을 만들면 그린을 놓쳤을 때 굉장히 많은 스트로크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 스윙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그 이유는 치핑과 피칭은 풀 스윙의 축소 형태이기 때문이다. 치핑은…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8
조회 1061
더보기
|
골프에서 깨달아야 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신체를 마음의 영상에 따라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제 막 골프를 배우기 시작한 사람은 명확한 골프 스윙의 영상을 갖지 못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전에는 그러한 동작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보자는 단지 훌륭한 골퍼의 스윙을 모방하는 것으로 연습을 시작해야 한다.연습이 진전됨에 따라 스윙키(swing key, 스윙의 요점)의 영상훈련이 점점 유용하게 됨을 알게 될 것이다. 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포괄적인 고려사항 중 하나는 템포이다. 많은 골퍼들이 아주 느리고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7
조회 1144
더보기
|
스윙의 마지막 단계는 올바른 메카닉과 정확한 타이밍, 리듬을 모두 통합해 항상 일정한 템포로 스윙을 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일이다. 템포란 모든 동작을 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빨리 하느냐 천천히 하느냐를 뜻하는 말이다. 예를 들면 백스윙을 아주 빨리 올렸다고 가정하면 백스윙의 템포가 아주 빨랐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템포는 백스윙을 시작해 피니쉬까지 소요되는 전체시간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스윙템포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골프를 자주 하지 못하는 골퍼들은 가능한 천천히 스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다.…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7
조회 1128
더보기
|
①규칙적인 것은 언제나 좋다 골프백을 차에 싣고 다니면서 ‘시간이 나면 연습하지’라는 생각은 금물이다.필드에 나가든 안나가든 연습은 규칙적이어야 한다. 주 1회가 되더라도 계획을 세워놓고 정기적으로 연습하면 당신의 실력은 강력해질 것이다.②승자는 내용에 있다 골프의 승자는 스코어가 가장 낮은 사람이 아니다. 승자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가장 좋은 내용의 플레이를 하는 사람이다.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골프가 진정한 승자를 의미한다.③인내심은 언제나 보답한다 골프는 경쟁성이 재능을 이기는 게임이다.당신의 골프적 재능이 어떨지 모르지만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6
조회 1149
더보기
|
왜 경기를 잘 하다가도 결정적인 순간 미스샷이 나는 것일까? 왜 오랜 경험을 한 선수들도 우승을 앞둔 1m 퍼팅을 그다지도 많이 실패하는 것일까?골프는 생각할 시간이 많은 운동이다. 생각할 시간이 많다는 것은 두려움과 화남, 스트레스 같은 심리변화가 얼마든지 샷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람이 화가 나거나 압박감을 받으면 아드레날린 분비가 많아진다. 아드레날린이 과다분비되면 흥분상태에 빠져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근육에 보다 많은 산소와 글루코오스를 공급키 위해 혈관도 팽창된다.이런 아드레날린 분비 증가는 정신적으로는 …
작성자yale
작성일 11-05-11 09:45
조회 123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