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뷔시/근.현대음악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550회 작성일 10-10-24 03:28
본문
클로드 드뷔시는 1862년 8월 22일 프랑스 산 제르만 안 레이에서 태어나 1918년 3월 25일 역시 프랑스의 파리에서 56세로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근대 작곡가 중의 한 사람입니다.
드뷔시는 20세기 초엽의 근대 음악의 대표자이며, 인상파 음악을 창시한 프랑스의 작곡가이기도 합니다.
근대음악에서 맨 먼저 낭만 음악에 반기를 든 사람이 드뷔시이었으며, 음악을 감각적인 면에서 구성하는 이른바, 인상주의를 주장한 개척자로서 그를 인상파 음악의 시조와 완성자라고도 합니다.
도자기 상회를 경영하고 있던 그의 아버지는 그를 해군에 보내려 했으나, 모테 부인에게 발견되어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드뷔시는 놀라운 음악적 재질을 나타냈습니다.
드뷔시는 일찍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여 11살 때 파리 음악원에 입학을 하였고, 1884년 22살 때에는 칸타타 '방탕아'로 로마 대상을 받아 로마로 유학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앞에 약 반년 가량, 러시아의 부호이며, 차이코프스키의 경제적인 후원자였던 멕크부인의 주선으로 러시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지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혀 나갔습니다.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처음 들어 본 것도 이 때이며, 그는 이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열광해 버렸습니다.
드뷔시에게는 로마 유학 3년이 견디기 어려운 무미 건조한 생활이었던 모양으로 1887년 3년의 시한을 채우지 못하고
2년만에 파리로 돌아왔습니다.
드뷔시도 처음에는 열렬한 바그너 신봉자가 되었고, 당시의 인상주의 시인 보오드레르에 경주하였습니습니다.
또, 그는 벨레느라든가 마라르메 등의 시인들과도 친교를 가져 문학적인 교양도 쌓았고, 20세기 음악 혁명의 기수인 드뷔시도 그의 초기의 작품 이를테면, '방탕아'라든가 피아노 곡인 '아라베스크'혹은 '베르자모 조곡' 등에는 아직 후기 낭만주의의 영향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드뷔시는 점차 바그너에서 멀어져서 사티의 주장에 공감하여 문학과 예술의 사조와 동조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기울어져 인상주의의 표현양식에 도달하게 된 것입니다.
드뷔시가 후기 낭만주의 특히, 당시 음악계를 석권하고 있던 바그너주의와 손을 끊고, 새로운 음악 즉, 인상주의 음악을 창시한 첫 작품이 마라르메의 시에 의한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입니다.
이 관현악곡이 작곡된 것은 1892년인데, 2년 후인 1894
년 12월, 파리의 국민 음악 협회에서 초연되었을 때, 센세이션을 일으켜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 소동은 1829년 베를리오즈가 '환상 교향곡'을 처음 발표할 때 이상으로 컸다고 합니다.
드뷔시가 주장한 인상주의 음악은 원래 미술계에서 일어난 운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외계의 사물을 사실적
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인 감각적 인상만을 표현한 것입니다. 여기서는 물체의 형태가 아니라 색채
와 빛, 그리고 생기입니다.
선은 확실치 않지만 색채만은 아름답고, 감각적인 농도
가 있습니다. 드뷔시는 이것을 음악에 옮기려고 했고, 한편 당시 문학에서 쓰이던 상징주의 즉, 반자연주의적인 태도에서 주관적인 기분을 표현하고 명확한 관념보다는 막연한 느낌, 환각과 같은 정조를 중요시하는 이 상징주의를 음악에 실현시킨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선을 취급하는 법칙 즉, 조성이라
든가, 음계라든가, 대위법도 보다 자유롭게 생각하
게 되었습니다.
규칙적인 박자의 관념도 없어지고 까다로운 화성법도 기능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색채적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이리하여 드뷔시는 이 인상주의 수법으로 근대 오페라의 특이한 존재인 '페레아스와 메리 산드'를 비롯하여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성악곡 등 많은 작품을 남겼습니다.
주요작품
칸타타 ; '방탕한 아들'
가곡 ; '만돌린', '베를렌의 시', '선택받은 소녀(프랑스어로 로제티의 시에 의함)', '화려한 잔치 제1·2집',
'프랑스와 비용의 시에 의한 3개의 발라드', '봄',
교향곡 ; '현악 4중주곡',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현악4중주곡', '바다', '영상 3', '베르자모 조곡'
'관현악을 위한 녹턴',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이베리아' '방탕아',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2개의 아라베스크', '페레아스와 메리장드'
피아노 모음곡 ; '어린이의 세계', '판화(版畵', '영상 1', '영상 2', '12의 연습곡'
피아노곡 ; '전주곡집 1' '전주곡집 2',
신비극 ; '성 세바스티안의 순교'
오페라 ; '페레아스와 메리산드'
발레곡 ; '유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