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분제는 아무나 먹어도 되나요? > 영양제 효능백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양제 효능백과


 

철분제는 아무나 먹어도 되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3,862회 작성일 11-01-26 23:29

본문

정확한 빈혈 진단 후에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빈혈이 심한 경우에는 철분 보충제를 먹어야 하겠지만 가능하면 철분제 보다는 철이 풍부한 식품으로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우리 건강에는 더욱 좋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복용을 하게 되면 연령에 따라 적정 복용량이 다르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는 철의 과잉 섭취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라 할지라도 철분 보충제로 시판되고 있는 것은 우리가 하루에 필요한 철의 양보다 수배~수십배 이상이나 많은 양이므로 우리 몸에 해로운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빈혈(철 결핍성)의 원인
1.음식을 통한 철분 섭취량 부족
2.위절제, 흡수불량 증후군 등 위장 장애에 의한 철분의 흡수 장애
3.성장, 임신, 수유, 월경 등에 의한 체내 수요량의 증가
4.소화성 궤양, 월경과다, 치질 등의 출혈에 의한 철 배설량 증가

◇한국인의 1일 철 권장량
빈혈은 철의 부적절한 섭취, 흡수불량 등이 원인으로 주로 생후 6개월∼4세, 사춘기, 여성의 경우 월경에 따른 철분 손실이 많은 가임기, 임신기에 흔히 발생됩니다. 철분의 1일 필요량은 남자의 경우는13-19세가 16㎎, 다른 연령에서는 12㎎이며, 여자의 경우는 10-49세에는 16㎎이고 임신전반기에 20㎎, 후반기에 24㎎ 및 수유기에는 18㎎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철의 급원식품
철은 비교적 흡수율이 낮은 영양소로 급원식품에 따라 철흡수의 차이가 있습니다. 식품 중의 철은 Heme 철과 비 Heme 철의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식품의 철은 heme 철로 10-30%가 흡수되고 곡류나 채소류에 포함된 철은 양은 가장 많지만 비 Heme철이며 수산이나 피틴산도 많아서 이런 물질들이 철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따라서 곡류나 채소의 철 흡수율은 2-10%로 낮으므로 가급적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철이 많은 식품으로는 쇠고기, 돼지고기, 굴, 계란노른자, 등이 있다. 그리고 철분 흡수를 증가시켜 주는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을 같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녹차, 커피 또는 청량음료 등은 탄닌이나 인 성분이 많아서 철분 흡수를 방해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