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제 효능백과 2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양제 효능백과


 

Total 75건 2 페이지
영양제 효능백과 목록
인삼(Ginseng)     인삼은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생약이다. 그러나 인삼의 정확한 약리작용을 알고서 이를 복용하기보다는 관습과 전통에 따르는 경향이 많다고 하겠다. 인삼을 제대로 알고 난 후에 이를 복용하면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삼은 다년생 풀이다. 본시는 습기가 많은 숲 속에 야생으로 나던 것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중국 북쪽, 만주 그리고 한국에서 산출된다. 고려 인삼이다. 미국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미국 인삼, 일본에서 재배되는 것은 일본인삼,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24 조회 1742 더보기
  엉겅퀴(Milk Thistle, 실리마린 Silymarin)     엉겅퀴는 길가나 들에 야생으로 자라는 다년생 풀이다. 엉겅퀴의 열매, 꽃 과 잎에서 뽑아내는 성분이 실리마린이라는 강력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하는 일종의 향색이다. 이 성분은 간에 대한 친화력을 갖고있어 간에 대한 여러 가지 병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유럽 특히 독일에서는 실리마린이 각종 간 질환에 광범위하게 쓰여지고 있으며 요즈음에 와서야 미국에도 실리마린의 효과가 소개되어 점점…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22 조회 2615 더보기
  깅코 발로바(Ginkgo Biloba)     은행나무 잎이 의약품으로 쓰여져 온지가 수천 년이나 된다. 한 중국의 문헌에 의하면 은행나무 잎이 약으로 쓰여진 사실이 주전 2천 8백 년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은행나무 잎을 뇌에 좋고 기관지 천식과 기침에 좋은 약으로 써 오고 있다. 은행나무는 나무들 중 가장 오래된 나무 중의 하나로 공룡들이 지구 위에서 번성할 때부터 있어오던 나무이다. 그 당시의 각종 화석과 같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어떤 사…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22 조회 1694 더보기
  식물성 영양소란 무엇인가? :   식물성 영양소란 식물들이 포함하고 있는 모든 화학물질들을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이다. 이 속에는 식물성 호르몬도 있고 식물성 스테로이드도 있다. 이들은 식물들이 자신들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여러 가지 물질들이다.   이런 물질들 중 현재로는 인간들의 건강을 위한 물질들만을 분석하고 이를 실험해서 어떤 부분이 무슨 작용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아직은 초기단계에 지나지 않으나 앞으로 음식으로 병을 예방하고 또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20 조회 1286 더보기
식물성 영양소(Phytonutrients) 왜 식물성 영양소가 중요한가? :   집안의 어린이들에게 과일과 채소를 먹이려고 노력하지 않는 부모는 별로 없을 것이다. 타일러도 보기도 하고, 협박을 해보기도 하고, 어떤 때는 뇌물을 주면서 까지도 과일이나 채소를 먹이려고 해 왔다. 왜 그랬을까? 과일이나 채소에는 비타민, 광물질 및 섬유질이 들어있고 이들이 몸에 좋다는 것은 거의 본능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근처에 얼마든지 있는 각종 과일이나 채소 속에 비타민이나 광물질 이외에도 건강에 좋은 여러 가지 물질들…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19 조회 1206 더보기
  코엔자임 큐-10(Coenzyme Q-10)     코엔자임 큐-10 이란 용어는 아직 상당히 생소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방면의 전문가들이나 쓰는 용어처럼 되어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일반인들에게도 익숙한 영양 보충제로서 등장할 날도 멀지 않았다.     코엔자임 큐-10은 비타민은 아니지만, 어떻게 보면 비타민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 비타민은 외부에서부터 들어와야 하나 코엔자임 큐-10은 체내에서 만들어진다.    그…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18 조회 1409 더보기
필수 지방산(Essential Fatty Acid)       필수 지방산에는 보통 다음의 두 가지가 포함된다. 오메가-6 및 오메가-3 즉, 리노레익산(Linoleic Acid)과 알파 리노레익산(Alpha Linolenic Acid, ALA)이다. 이들을 필수 지방산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들이 없으면 세포구조가 흐트러지고 신진대사가 잘 안되기 때문이며, 신체에서 만들어 낼 수 없고, 필수적으로 음식을 통해서 섭취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두 필수 지방산은 신경세포와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17 조회 1620 더보기
프로테아즈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       거의 모든 견과류에는 항암물질인 프로테아즈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뉴욕대학의 트롤 교수는 견과류에서 프로테아즈 억제인자를 발견했다. 그 이후에 트롤 교수는 견과류를 많이 섭취함으로서 암 발생을 줄여야 한다고 역설한 적이 있다. 그러나 프로테아즈 억제인자는 견과류 이외에도 각종 전곡류 및 씨에도 골고루 들어 있다. 각종 곡물들에도 많이 들어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콩…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2-24 13:15 조회 1334 더보기
초유(COLOSTRUM)와 전이요소(TRANSFER FACTOR)     우선 초유와 전이요소라는 용어에 생소한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유와 전이요소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먼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초유란 출산 후 처음으로 나오는 모유로 사람이나 모든 포유류에서 볼 수 있다. 다음 세대를 낳은 후, 첫 몇 시간동안 나오는 최초의 우유가 초유이고, 전이요소는 초유에 있는 성분들 중의 하나로 주로 면역성에 대한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세상에 처음으로 태어나게 된, 다음 세대의 몸에 있…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21 조회 1260 더보기
  알파 리포익 산(Alpha Lipoic Acid)     알파 리포익 산은 앞에서 취급한 글루타타이언 보다 더 생소한 영양 보충제이다. 1930년 대에 발견된 후 1957년 도에 최초로 추출이 되었다. 처음에는 알파 리포익 산을 B-비타민으로 인식되었다. 그 이유는 알파 리포익 산은 B-비타민과 마찬가지로 각종 신진대사에 깊숙이 참여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알파 리포익 산은 몸에서도 생산이 되며 음식물을 통해서도 공급을 받고 있다. 따라…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20 조회 2620 더보기
당화 영양소(GLYCONUTRIENTS)   탄수화물이 단지 에너지를 내기 위한 하나의 연료로만 쓰이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00여 가지나 있는 여러 가지의 탄수화물(일당) 중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절대로 필요한 여덟 가지의 탄수화물(필수 당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필수당들은 에너지를 내는 연료로 쓰여지는 이외에도 각종 신진대사에 참여함은 물론, 면역성을 올려주기도 하고, 염증을 가라앉게도 하고, 혈당과 혈압을 조절해주기도 하고, 콜레스테롤을 조절해주기도 하고, 또…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20 조회 1216 더보기
  글루타타이언(Glutathione)                      글루타타이언은 많은 사람들에게 아주 생소한 영양소이다. 이는 우리의 몸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영양소인데 모든 산화방지제 중 가장 강력한 산화 방지작용을 한다. 글루타타이언은 인체의 어느 곳에서라도 산화방지의 역할을 하지만 특히 뇌와 신경 및 간에 대한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9 조회 1293 더보기
크로미움(Chromium)                           크로미움은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광물질이다. 그러나 혈당과 인슐린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광물질이다. 따라서 저혈당 및 당뇨병 환자들에게 필요한 영양소이다. 또한 혈당과 인슐린의 조절이 노화를 방지하는데 필수임으로 이 방면으로도 요긴하게 쓰…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7 조회 1387 더보기
칼시움(Calcium)     칼시움은 어떻게 보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영양소 일 것이다. 미국의 낙농업자들이 엄청난 돈을 들여서 광고를 많이 한 결과이다. 우유를 마셔야 칼시움을 섭취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우유 속의 칼시움이 어디서 왔는지에 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실지로 우유 속의 칼시움이 소의 뼈로부터 왔을 리는 없다. 소도 풀이나 다른 사료 곡식을 먹고 우유를 생산해 내고 있는 것이다.     즉 모든 칼시움은 식물로부터 온다. 인류학자들의 연구에 의하…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6 조회 1785 더보기
철분(Iron)     철분에 대하여 언론들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보도를 한 바 있다. 철분이 있어야 건강에 좋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모든 광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양면성을 갖고 있지만, 철분만큼 이로운 면과 해로운 면의 양면성을 갖고 있으면서 이로운 면을 조금만 벗어나도 해롭게 되는 광물질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즉 철분은 알고 복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해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모두가 알다시피 철분은 조혈에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6 조회 1352 더보기
  슬레니움(Selenium)    슬레니움은 미네랄 중 최근에야 그 기능이 밝혀졌고 또한 이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된 광물질이다. 비타민-E와 함께 몸의 산화작용을 막아주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 중의 하나이다. 또한 각종 신진대사에 참여하면서 면역성을 높여주며, 비타민-E와 같이 암 예방과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데 중요하며 또한 암 치료에 응용되기도 한다.   환경오염에서 오는 해독을 막아주는데 탁월한 역할을 한다. 슬레니움이 부족할 때는 피부에 반점(노화 현상)이…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4 조회 1296 더보기
붕산(Boron)     붕산은 식물들이 크는데 절대로 필요한 식물들의 영양소이다. 그러나 인간에게도 약간의 붕산이 있어야 튼튼한 뼈를 형성하게 된다. 붕산은 아주 미량만 있어도 된다. 그러나 붕산이 있어야 칼시움, 인산, 마그네시움의 대사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붕산은 정신활동을 도와주며 정신집중에 도움을 준다. 건강한 사람들에는 붕산 부족증이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된다. 그러나 늙은 사람들은 약간의 붕산을 복용함으로 칼시움의 흡수를 돕게 된다.   미 농무성에서 연구조사한 바에 의하면, 늙은 사람…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3 조회 1139 더보기
  물(Water)     우리 몸은 7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있다. 어떻게 보면, 우리의 몸은 물 자루 속에 잠겨있는 몇 가지 성분이 생명유지의 원칙에 의해 질서 있게 운영되고 있다고 보면 편할 것이다. 즉 70% 이상의 성분인 물의 중요성이 그대로 들어 나고 있는 표현이라고 보겠다. 따라서 몸 구성의 가장 중요물질인 물에 관한 이야기를 빼고는 건강을 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어떤 물을 마셔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까?   우선 수돗물을 알아…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3 조회 1133 더보기
몰리브덴(Molybdenum)     몰리브덴은 뼈, 이, 콩팥, 간을 이루는 조직 속에 포함되어 있다. 이의 에나멜을 구성하는 한 부분이 몰리브덴인데 이 광물질이 모자라면 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몰리브덴 퓨린이란 아미노산의 대사에 필요한데, 이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면 통풍이란 아주 아픈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몰리브덴의 부족이 있으면 빈혈이 올 수 있고 남자들에게는 발기부전이 올 수 있다.   몰리브덴이 많이 있는 음식 : 진초록 채소, 콩, 팥, 전곡류 및 각종 육류 특히 간이나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1 조회 1275 더보기
망간(Manganese)     망간은 뇌하수체, 간, 콩팥 그리고 뼈에 집중되어 있다. 망간이 있어야 몇 가지 비타민들이 제대로 그 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B-비타민들, 특히 비타민-B1, 비타민-C 및 비타민-E는 망간이 있어야 한다. 망간과 B-비타민이 작용하면서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무엇인가 건강하다는 주관적인 느낌을 주게된다. 망간은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특히 콜레스테롤 대사에도 직접 간접으로 관여하고 있다. 망간은 뼈와 신경조직을 튼튼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망간은…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0 조회 1445 더보기
  마그네시움(Magnesium)    마그네시움의 기능은 다양하다. 마그네시움의 부족이 있을 때에는 거의 모든 병의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만큼 마그네시움의 중요도가 크다고 보겠다. 300여 가지 이상의 효소작용에 마그네시움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작용에는 마그네시움이 필요하다. 이런 마그네시움에 대하여 현대의학에서는 요즈음에 와서야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다.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10 조회 2545 더보기
구리(Copper)     구리는 여러 가지 생리작용을 갖고 있다. 뼈를 형성하는데 다른 영양소와 같이 참여하고, 적혈구 제조에, 그리고 각종 콜라젠(관절, 뼈 등에 필요한 부분)을 만드는데 아연 및 비타민-C와 같이 구리가 꼭 있어야 된다. 따라서 구리는 상처 치유에 필요한 광물질이다. 또한 튼튼한 관절을 유지하려면 구리가 있어야 한다. 구리가 모자라면 골다공증에도 걸릴 수 있으며, 관절염, 빈혈, 대머리, 원인 모를 설사, 일반적인 허약증, 호흡기능의 저하, 각종 피부병에 걸릴 수 있다. 구리는 그냥 지나가…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08 조회 1514 더보기
광물질(Mineral)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물에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꼭 필요한 영양소들이 부족한 경우가 종종 있다. 비타민은 말할 것도 없지만, 광물질의 부족함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를 보충해 주어야 좋은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이론이 성립된다. 본래 음식물을 통해서 모든 영양소들을 다 흡수할 수 있으면 그 보다 더 이상적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을 그와는 다르다. 크게는 대륙별로 작게는 현재 살고 있는 지역별로 토양의 구성이 다 다르다. 따라서 한 지방에서만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08 조회 1288 더보기
베타 카로틴(Beta-Carotene)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베타 카로틴은 비타민-A의 전구물질로만 생각되어 왔다. 즉 식물성 비타민-A로만 여겨 오고 있었다. 그러나 베타 카로틴에 대한 특수한 작용이 새로이 알려지기 시작한 후부터 베타 카로틴을 따로 독립해서 하나의 다른 비타민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다른 카로틴도 다 그렇지만 베타 카로틴은 강력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갖고 있다. 베타 카로틴의 산화방지제 역할이 다른 산화방지제와 합해질 때 상승효과를 내게 된다. 어…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24 12:04 조회 1309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