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RICE)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2,298회 작성일 09-12-15 13:57
본문
쌀(RICE)<?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가장 오래된 곡식 류 중의 하나로 최소한 4천년의 재배기록이 있다. 아시아가 원산지로 되어있으며, 상품가치상, 장미, 중간미, 단미로 나뉘어지는 데, 장미의 가격이 가장 비싼 이유는 정미하는 과정에서 많이 잘려나가기 때문이다. 길이가 길수록 밥을 만든 후에 흐트러지는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단미가 가장 차진 것은 물론이다. 가격이나 맛은 각각 다를지 몰라도 영양면으로 볼 때는 모두가 같다. 다만 껍질이 아직 덮여 있으며 깎아내지 않은 현미가 각종 비타민 및 광물질, 그리고 섬유질이 백미보다 훨씬 많이 들어있다. 현미에는 파이틱 산(Phytic Acid)이 있어 철분과 칼시움 흡수를 방해한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인들의 일인 당 일년 평균 소모량이 3백 파운드가 되는 반면, 미국인들의 일인당 일년 소모량은 25파운드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 것도 아침에 먹는 씨리얼이나 슾의 일부분으로 먹는 것이 보통이다. 쌀은 보리나 귀리와 같이 겉껍질이 두텁게 싸여있어서 정미과정에서 상당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반면에, 밀, 호밀, 옥수수 등은 씨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정미과정이 간단하다).
쌀에 대한 세계 각국의 인상과 전통은 다음과 같다.
* 쌀은 다산을 의미한다. 신혼부부에게 쌀을 뿌리는 것이 이에서 기원한다.
* 유아식의 주성분에 쌀이 많이 쓰인다. 소화가 쉽고 알레르기가 적기 때문이다.
* 미국은 전세계 쌀 생산의 1%를 차지하나, 쌀 수출면으로는 가장 큰 나라다.
* 미국에서는 쌀을 정미하고 남은, 영양분이 많은 쌀겨를 사료로 사용한다.
* 정미과정에서 부스러진 쌀은 맥주 원료로 사용한다.
쌀의 종류 : 모양과 길이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1) 아보리오(Arborio): 이태리가 원산지인 중간미로 크림과 같은 색깔을 내며 이태리 전통음식인 리소토에 들어간다.
2) 바스타미(Bastami): 인도와 파키스탄이 원산지로서 특징은 향내가 좋다는 것이다. 밥을 만들면 길이 쪽으로 밥알이 늘어나며 인도의 전통 음식인 육반(Pilaf)을 만드는데 적합하다.
3, 쟈스민(Jasmine): 타이가 원산지로 바스타미와 같이 향내가 나며 차진 쌀이다.
4, 야생미(Wild rice): 쌀과는 먼 친척관계에 있는 쌀 비슷한 곡물이다. 미국의 5대 호 근처에서 야생으로 자란 것을 채취했으나 요즈음은 수요가 늘어나 재배를 하고 있다. 보통 쌀에 결여 되어있는 Lysine이란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다른 영양분도 더 많이 들어 있다.
쌀의 영양가
쌀의 종류에 따라 영양분의 내용이 틀린 것이 아니라 얼마나 가공했는가에 따라서 그 내용이 달라진다. 즉 쌀의 모양과 맛이 아무리 다르더라도 그 영양분은 같다. 쌀 반 컵 정도의 칼로리가 약 100 정도인데 흰쌀보다는 현미가 약간 높아 110 정도가 된다. 쌀에는 다른 곡식과 달리 아미노산이 약간 들어있다. 그러나 비타민은 거의 들어있지 않다. 따라서 흰쌀밥은 반듯이 다른 음식과 섞어서 그 균형을 맺지 않으면 영양편중이 되기 쉽다. 흰쌀에는 섬유질이 거의 없는 반면에 현미에는 비교적 풍부하게 들어있다.
치료 효과
1) 고혈압, 콩팥 질환 등에 쌀을 치료제로 쓴 듀크 의과대학의 켐프너 박사는 이 방면에서는 전설적인 인물이다. 1940년도에 쌀죽으로 심한 고혈압과 이와 관련된 콩팥질환을 고친바 있다. 환자에게 쌀죽과 과일만으로 식사를 하게 했고 소금기는 전혀 없앴더니 좋은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인도의 학자들이 쌀 속에서 혈압을 낮추는 요 소를 분리했다고 한다. 이때 다른 음식을 전혀 쓰지 않았는데 쌀의 혈압 낮추는 효과가 쌀 자체만으로 온 것인지 아니면 혈압을 높이는 다른 음식들을 제거한데서 온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2) 최근 쌀 치료로 난치였던 습진이 나았다는 보고도 있다.
3) 설사치료에 좋다. 쌀미음이나 죽으로 설사를 고쳤다는 기록은 아주 오래 되었다. 3천년전이나 된 인도고전에 기록이 되어 있을 뿐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쌀죽이 설사에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방글러대시의 설사질환 연구소에서는 어린아이를 갖고 있는 젊은 어머니들에게 다음과 같은 쌀을 사용한 설사치료제를 권장하고 있다. 두 주먹 정도의 쌀과 찻숟갈로 평평한 정도의 소금을 1리터의 물에 넣고 30분 정도 끓여서 설사가 난 아이들에게 마시게 하면 설사도 멎고 탈수증상으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캠페인을 벌리고 있다.
4) 신장결석 치료에 쌀겨를 써서 효과를 보았다는 일본의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쌀겨 5그램 정도를 하루에 두 번 복용했더니 소변으로 나오는 칼시움의 양이 훨씬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 치료로 칼시움으로 인한 신장결석 치료와 예방에는 좋으나 칼시움을 많이 흡수해야 하는 사람들(골다공증)에게는 별로 좋지 않은 뉴스가 될 수 있다.
5) 피부미용에 쌀겨를 천에 쌓아서 비누대신에 얼굴, 목, 손, 팔 등에 바르면 피부가 고와진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현대 여성들은 크림으로 이를 대신하고 있다.
6) 콜레스테롤 조절과 장암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한국문헌
동의보감 : 입쌀은 성질이 고르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니 위를 편하게 하고 살갗을 길러주며 속을 덥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여 기를 도와준다. 밥이나 죽을 끓여 먹는데 약간 덜 익으면 비장에 보익이 있으니 충분하게 익혀서 먹는 것이 좋다. 늦게 거둔 백미가 제일 좋고 서리를 맞은 것을 거두어 쓰면 가장 좋다. 찹쌀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면서 쓰고 독이 없으니 곽란을 그치게 하지만 열이 있고 대변이 굳어진다. 모든 경락의 기를 막기 때문에 사지가 약해지고 풍을 일으키며 기를 움직여서 혼미하고 잠이 많으니 지나치게 오래 먹으면 몸이 유연해 진다. 개나 고양이에게 시험해 보면 다리가 약해져 걷지를 못하는 것으로 보아서 힘줄을 늦추어 주는 것이다.
이태우저 : 쌀 누룽지는 소화촉진제이다. 목이 쉬었을 때 생쌀을 씹어 먹으면 묘하게 낫는다. 코가 자주 막히는 데에는 곶감과 쌀의 분량을 같이하여 달여서 수시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노인의 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쌀 커피 차 : 쌀을 과자 만드는 판에 한 줄로 깐 후 이를 볶는데 너무 볶아서 까맣게 만들지 말고 갈색이 날 때에 이를 갈아서 공기를 차단한 용기에 넣은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커피를 만들 때와 같이 쌀 커피 차를 만들어 마시면 훌륭한 차가 된다. 이 차는 술 마신 후 골이 아픈데 좋은 효과를 내기도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