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80만 년 전에 인간의 조상인 호모이렉투스가 초기인간으로써 처음으로 식품에 불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 사건이 인류역사에서 산양과 수집 경제에 불씨를 피었고 이때부터 인간의 식사에 동물성 식품이 중요한 자원의 일부로 등장 하게 되었다 현재까지도 인간 사회에서는 이 동물성 식품의 섭취문화가 이어져 내려오면서 질병의 형태가 각기 다른 인간 집단에 다르게 고통을 주고 있다. 그러면서 인간들은 인간의 음식에 대한 패러다임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단지 일세기전 까지만 해도 전염병이 인간을 죽음으로 내모는 주요 질병이었…
작성자basil
작성일 12-07-05 12:16
조회 1387
더보기
|
희랍신화를 묘사하는 벽화에 보면 머리는 동물이고 꼬리는 인간인 그림을 종종 본다. 또 머리는 사자이고 꼬리는 물고기이고 또는 말꼬리 그림도 종종 보았다. 이처럼 고대로부터 두 종류의 동물이 유전적으로 섞여서 태어나는 경우를 상상화인지 또는 실재인지 모르게 벽화에 종종 나타나있다. 덴마크의 인어공주 역시 하나의 조각품으로 바닷가에 바위 위에 수백 년 앉아 있다.
이러한 작품들이 인간의 예술 감각을 흔드는 하나의 예술품으로 생각을 하다가 이것이 사실로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하는 호기심이 요즈음 젊은 과학자들을 자극 하고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2:13
조회 1318
더보기
|
우리가 일상 먹는 푸른 야채는 시금치, 근대. 아욱, 브로콜리 그리고 고춧잎 등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푸른 야채의 영양 가치를 따질 때는 먼저 B-카로틴, 그리고 신선도에 따라서 비타민 C, 그리고 무기질 중에 칼슘도 함유되어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푸른 야채에 들어있는 칼슘은 그 야채 속에 함께 함유하고 있는 옥살산 때문에 흡수율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모두가 사실이다.
최근에 임산부가 입덧을 하든지 아니면 입맛이 변해서 임신기간 중에 푸른 야채 먹기를 거부한 임신부 중에 불행하게도 아기머리의 숨구멍이 막히지 않…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2:12
조회 1273
더보기
|
화학물질이 자연계에 존재 할 때에 공간 이성체로 존재하는 물질이 많이 있다. 지방산도 예외일 수 없다. 지방산에는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이 존재 하는데 지방산의 공간 이성체는 불포화 지방산에서 그 불포화기를 중심해서 어떤 쪽으로 꼬였나 하는 것에 따라서 시스(cis) 와 트랜스(trans)형으로 나눈다. 간단히 말하면 시스형은 유자처럼 지방산의 사슬이 부포화기를 중심으로 양옆이 같은 방향으로 굽어져있는 형태이고 트랜스는 불포화기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반대로 굽어져있는 형태로 존재 하는 것이다. 어디로 굽어 지는 것이 무슨 관…
작성자basil
작성일 12-07-05 11:42
조회 1225
더보기
|
생선하면 일본인을 떠올릴 만큼 생선을 자주 그리고 많이 먹는 나라로 세계인이 인정하고 있다. 일본 음식 중에서 생선음식으로 세계인이 억지로라도 즐겨 먹는 것이 생선회며 생선 스시이다. 서양 사람들은 생선을 날로 먹는 것은 상상도 못하였는데 세계 이차 대전 후에 일본이 패망하고 일본의 문화가 미국으로 전파 되면서 생선 스시가 마치도 세계인의 음식처럼 퍼져가고 있다. 일본도 17세기 이전에는 주로 육류를 먹었다고 한다. 그런데 일본 사회를 혁명적으로 발전시킨 중시조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도꾸가와 에이야스이다. 도꾸가와에서 일본을 약 3…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37
조회 1221
더보기
|
미국에서 발간되는 "Health" 라는 잡지 2006년 3월호에 세계적으로 건강에 기여 하는 식품을 선정 하였다. 첫째 스페인에서 생산하고 스페인 사람들이 많이 섭취하는 "올리브 유"를 추천하였다. 세계 올리브유 공급 총양의 약 40%를 스페인에서 공급한다. 항산화기능이 풍부한 올리브기름은 심장병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를 한다. 그래서 올리브기름을 섭취한 사람은 혈액내의 HDL함량이 높고 반대로 LDL함량을 조절 한다. 그래서 미국 식약청에서 올리브기름 병에 심장 보호기능이 풍부 하다는 사실을 쓰도록 하였다. 연구자들이 올리브기름의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34
조회 1541
더보기
|
미국 영양학자들이 다양한 책을 통해서 국민들께 호소쪼의 책을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미국인의 건강 문제 중에서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비만이다. 미국 성인의 1/3이 과체중이니 또는 20%이상의 인구가 비만이니 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아닌 게 아니라 미국을 가서 보면 길에서 만나는 어마어마한 사람들이 종종 있으며 이들을 지나치고서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된다. 어떻게 먹으면 저렇게 뚱뚱 해지나? 하면서 우리는 아직 괜찮아 하면서 혼자 중얼거리는 때도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길에서…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33
조회 1310
더보기
|
멸치는 작은 생선으로 이를 통째로 먹는다. 생명체 하나를 통째로 먹을 수 있는 식품이 그리 많지 않다. 소고기는 소의 일부를 먹는 것이고 생선도 그 일부를 먹는다. 채소나 곡식은 하나의 개체를 송두리째 먹는 음식이 많다. 곡식의 낱알도 그 개체 송두리째 식탁에 오르고 야채나 과실도 때때로 하나의 개체를 모두 섭취하고 있다. 이렇게 생명체 하나의 개체를 송두리째 먹는 것에 대해서 논의가 분분 하지만 인간의 개체도 생명작용을 원만히 하려면 그에 필요 되는 물질의 공급이 다른 생명체에서 얻고 있다. 이것이 영양소라고 하기도 하고 이러한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31
조회 1168
더보기
|
요즈음 세계인의 관심이 동양의 음식으로 쏠리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낫도가 여러 가지 이유로 각광을 받는데 우리도 300여년 먹어온 청국장이 일본의 낫도 보다 우월하면 우월하지 못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전통장의 영양학적효과는 최근에 많이 밝혀지고 있는데 암 세포 증식억제효과 항암 효과 까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청국장의 항암 활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고지방 식사로 인한 체중 증가 시에 된장을 함께 첨가한 식사를 한 실험동물 쥐에서 현저한 체중감소가 나타났다. 체중이 과다한 경우에 만병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요즈음…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30
조회 1184
더보기
|
혈당 관리는 무었을 먹었느냐에 따라서 많이 좌우되며 얼마나 먹었느냐에 따라서 영향을 미친다. 즉 예를 들어서 탄수화물의 함량이 많은 식품을 먹으면 혈당은 올라가게 되어있다. 탄수화물이란 밥의 주성분인 쌀에도, 밀가루에도, 감자류에도 전분의 형태로 함유되어있고 그리고 두류에도 일부 탄수화물이 함유되어있다. 그리고 설탕은 말할 것도 없고, 과실 속에도 과당이 상당히 함유되어있다. 탄수화물이 전연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식품은 대표적으로 육류와 생선들이다. 그리고 계란에도 전연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혈당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8
조회 1131
더보기
|
최근에 당뇨병학회의 발표에 의하면 머지않아서 2030년에는 우리나라 성인의 10%가 당뇨병이거나 당뇨증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충격적인 보도를 하였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당뇨증세를 나타내는 것인지 고민 중에 고민이다. 중년의 성인에게 나타나는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으로 인슐린은 잘 분비되어도 그 효능이 떨어져서 제역할을 못하기 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슐린의 체내 작용은 혈당이 어느 수준으로 올라가면 이를 지방조직으로 이동하여서 지방으로 저장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당을 많이 먹으면 살이 찐다고 하는 말이…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7
조회 1084
더보기
|
중남미에서 야생하던 토마토가 1520년경 스페인의 정복자들이 이 야생토마토를 유럽에 퍼뜨렸다. 우리나라에 토마토가 유래된 것은 "지붕유설(1614년)"에 의하면 토마토가 우리나라에 유래된 역사가 기록 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생각되며 중국에는 17세기에 들어왔다고 하며 우리나라는 중국으로 부터 사신이 들여왔다고 한다. 최남선 씨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중국을 거쳐서 우리나라 로 들어왔다고 하였다.
토마토는 가지과식물로 일년생의 식물이다. 토마토 맛은 감미가 다를 과실에 비해서 낮기 때문에 야채로 분류되…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5
조회 1090
더보기
|
고추는 열대지방에서 온대지방에 이르기까지 널리 재배되는 일년생 과채류이다. 매운 고추는 Red Pepper, Chill Pepper이고 단맛을 지닌 고추는 Pimento 라 불리는 청과용, 가공용, 관상용 등의 종류가 있다. 고추의 원산지는 남미 아마존강 유역이라고 알려져 있고 1493년에 콜럼부스가 스페인으로 가져가서 유럽으로 널리 전파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어서 17세기경에 중국과 일본에 전파되었다고 하며 우리나라는 임진왜란(1592년경) 당시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에 소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14년에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3
조회 1196
더보기
|
가지하면 상당히 오랜 기간 우리들의 식품으로 공헌한 식물이다. 그런데 가지의 색이 짙은 보라색이기 때문에 거의 검은색에 가깝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은 이것을 먹기를 꺼려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한편 어른들이 맛있게 조리해서 먹여서 키운 아이들은 의외로 가지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최근에 식생활과 건강문제가 많은 사람의 관심사가 되고 보니까 식품을 색색으로 골고루 먹으면 좋다고 권장한다. 미국 농무성에서는 한 식탁에 매 끼니마다 5가지 이상의 색깔의 식품을 포함시키라고 권장하고 있다. 흰색,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1
조회 1104
더보기
|
우리가 먹는 음식 속에는 다양 구조의 물질로써 쓴맛이 나는 물질이 있다. 예를 들어서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 코코아나 초콜릿에 들어있는 테오브로민, 토닉 물에 들어있는 퀴닌, 담배의 니코틴, 자몽이나 맥주원료인 호프에 있는 나린진이나 또는 메틸나린제닌 등이 있다.
아마도 카페인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섭취하는 약리적으로 가장 활발한 물질일 것이다. 이 카페인은 가장 흔히 커피나 차, 또는 Soft Drinks 또는 코코아 초콜릿, 의학적인 약에도 함유되어 있다. 이 카페인의 섭취수준이 사람마다 다양하기 때…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1
조회 1480
더보기
|
지방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글리세롤 한 분자에 지방산이 세 분자 붙어있는 중성지방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 존재한다. 우리 몸에 기름이 찐다고 하는데 여분의 에너지는 대개 중성지방으로 전환하여서 우리 몸에 저장된다. 이런 지방을 중성지방 또는 단순지방이라고 한다. 이외에 인지방, 지단백과같은 복합지방이 있다 이는 단순지방골격에 인이 결합되어 있다든지 또는 지단백은 지방구를 단백질이 겉을 싸고 있는 지방구이다. 이는 영양소들은 대개 물에 녹는데 지방만이 물에 안 녹기 때문에 물에 녹는 단백질이나 물과 친화…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20
조회 1202
더보기
|
1960년대에는 우리나라 경제 수준이 국민 일인당 GNP가 $80정도 이었다. 현재 우리의 경제 수준은 국민 일인당 GDP로 환산해서 $20,000대를 바라보고 있다. 50년도 안 되는 47년 사이에 약 200배의 경제 성장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에는 우리나라 국민 일인당 지방 섭취량이 전체 에너지 섭취량 중에서 지방으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가 10% 미만 이었다. 지방은 맛을 주는 영양소이기 때문에 적어도 맛을 내서 식사를 하려면 전체 열량 섭취량 중에서 지방으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가 15%는 되어야 한다. 국민 일인…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8
조회 1448
더보기
|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산 중 우리가 주로 섭취하는 지방산의 종류는 11종류 정도 된다. 지방산은 화학적으로 산소(O), 수소(H), 탄소(C),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이다. 지방산의 종류는 탄소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그런데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산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의 개수는 짝수만이 존재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산 중에 가장 간단한 지방산은 탄소의 수가 2개짜리도 있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먹는 초 즉 빙초산도 지방산의 일종이다. 탄소수가 2개짜리 지방산으로 시작해서 2개씩 늘어난다. 그러니까 4개짜리 이것을 부틸산이라…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7
조회 1142
더보기
|
김치는 한국음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김치의 시조를 중국의 시경에서부터 그 유래를 따진다. 고대사회에서는 음식의 조리가 오늘과 같이 이렇게 다양하지 않았다는 것은 모두 짐작하시리라고 생각합니다. 고대인들은 특히 아시아의 고대인들은 수렵기와 수집기를 지나서 농경사회로 안정이 되었기 때문에 곡식과 짭짤한 야채를 먹었다. 아시아에 거주 하였던 고대인들의 초기 식품은 곡류 음식과 생리적으로 요구되는 염저장한 야채이었다. 이렇게 초기 고대인이 먹었던 염저장한 야채를 김치의 시조라고 보는 이도 있는데 필자는 오늘과 같은 통배추김치는 1800…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6
조회 1126
더보기
|
밥은 한국인의 힘의 원천이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밥은 통일 신라 때에 비로소 오늘의 밥의 형태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이전 시대에는 싸라기 죽의 형태 또는 시루에 찐 떡의 형태로 먹다가 뚜껑이 있는 조리용기가 출현하면서 밥을 지을 때 뚜껑을 덥고 폭 뜸을 들이는 조리방법이 비로소 가능해 지면서 오늘의 밥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오늘의 우리 밥상처럼 밥과 반찬이 따로따로 놓여서 갖추어진 것도 통일 신라 때로 본다. 어떤 형태의 밥이든 간에 우리는 기장으로부터 시작해서 쌀밥에 이르기까지 먹어온 역사는 단군이래로 따지…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5
조회 1236
더보기
|
추석은 우리나라 온 국민의 명절이며 또한 오곡 백화가 무르익은 계절이며 하늘에 풍성한 계절을 허락하신 신께 감사를 드리는 계절이다. 그렇기 때문에 추석 휴일 동안에는 집집마다 풍성한음식준비가 한창이며 송편을 빚어서 가을의 정취를 송편으로 시작해서 무르익은 과실과 육류요리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추석음식이다.
추석휴일동안에 무작정 먹으면 대개 2-3kg의 몸무게를 올리기는 예사이다. 우리는 입에서 당기는 대로 다 먹다가는 과식하기 일쑤이다. 첫째 섭취하는 음식의 총량을 생각해야 된다. 육류건 과실이건 간에 섭취하는 총…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4
조회 1161
더보기
|
살이 찐다는 것은 신체에 체지방이 축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몸에서 살이 찌는 곳 즉 지방이 축적되는 곳은 한 여섯 군데가 있다. 1.목덜미, 2. 피하 층에 피하지방으로 지방이 축적된다. 3. 복부이다. 즉 배가 나온다는 것은 뱃속에 소장 사이사이에 지방이 축적된다는 것이다. 이를 일컬어서 바이세랄 지방이라고 한다. 4. 우리 내장 중에 신장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신장을 지방이 푹 싸고 있다. 5. 또 남여를 막론하고 여자는 난소 주변을 지방이 쌓고 있고 남자의 경우에는 epidydimal fat pad 라고 요…
작성자basil
작성일 12-07-05 11:12
조회 1207
더보기
|
요즈음 한국 성인 절반이 과체중 내지 비만으로 고생을 한다고 떠들썩하다. 확실히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개인은 여러 가지 성인병에서 멀리 있다고 합니다. 체중이 과잉된 개인들은 순환계질환, 당뇨병, 각종 암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고 체중 조절을 하라고 전문가들은 충고를 합니다. 요즈음은 체중 과다의 문제가 오로지 성인에서 만이 문제가 아니라 성장기에 있는 십대들에게서도 과체중 문제가 종종 화제가 되고 있다.
나의 정상체중은 몇 kg 인가? 모두 궁금한 사항이다. 내가 지금 정상체중 유지를 하고 있나? 아니면 …
작성자PALM
작성일 12-07-05 11:11
조회 1535
더보기
|
빈센트 반 고흐. 그가 최후를 맞이한 곳은 알려진 대로 파리 근교인 오베르주다. 고흐와의 인연으로 한적하고 평범한 농촌 마을인 오베르주엔 지금도 수많은 방문객이 들른다. 고흐는 이 마을에서 안식을 찾았으나 오래 머물지 못하고 세상을 뜨고 말았다. 그는 이 마을을 아주 마음에 들어 했다. 동생 테오와의 편지 왕래에서 그는 오베르주 생활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곤 했다. 오랜 세월이 흘러, 알렉산드라 리프라는 요리 역사학자에 의해 아마도 고흐가 먹었을 만한 요리가 재현된 적이 있다. 그 요리 중의 하나가 호박 스프다. 올리브유가 귀한 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05 10:28
조회 136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