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과 고혈압
페이지 정보
작성자 PALM 댓글 0건 조회 1,177회 작성일 12-07-05 12:25
본문
소금은 어떤 영양소보다도 우리 생리나 생명유지에 필수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지구상에 존재하게 되면서 부터 소금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가 없었다. 원시시대에는 소금을 채취하기위해서 바닷물을 증발시키거나 또는 해조를 태워서 얻기도 하였다. 원시시대에는 인간이 조수(鳥獸)나 물고기를 잡아먹고 허기를 메웠다. 그 조수의 조직 내에 함유된 염분으로 인간의 염분 충족을 시킬 수 가있었다 그러나 인간이 농경 생활을 하게 되면서 식물을 식품으로 섭취하게 되면서 생리적으로 요구되는 소금을 보급 하는 일이 어렵게 되었다. 또한 식물 속에 다량 함유된 칼륨의양과 균형을 이루려면 염분이 더욱이 필요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서 인간은 소금을 따로 만들어서 식품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이전의 소금에 대한 문헌이 매우적다. 다만 "삼국지" "위지동이지" 그리고 고구려조에 해안지방에서 소금을 운반 해 왔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신라와 백제에서도 해안 지방에서 소금을 운반해 썼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국가에서 소금관리를 하여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조선조에는 주와 군마다 염장을 설치하여 관가에서 소금을 구어 백성들로 하여금 나누어 먹도록 하였다.
우리의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아마 가장 대량의 성분이 물 일 것이다. 우리 신체구성 성분의 65-75%가 물이며 연세가 증가 할수록 체내물의 함량은 감소하여서 80대가 되면 대개60-50%로 감소한다. 이 체내 수분에는 0.9%의 염분이 녹아 있으며 이 염분의 함양이 증가하면 부종이 생기고 염분의 함량이 감소하면 탈수의 현상이 생긴다. 우리는 보통 0.9%의 수분을 생리적 식염수라고 부른다.
소금은 우리 신체 건강을 유지하기위해서 필수물이다. 혈압을 유지 시켜주고 면역기능을 유지 시키며, 신체 모든 장기가 기능을 할 때에 윤활제가 되고 있다. 소금은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노폐물의 배설을 위해서 이동하는 데에 필수물질이다. 소금을 섭쥐하지 않으면 죽는다. 그런데 소금을 과잉으로 섭취해도 죽는다. 그렇기 때문에 소금은 적당량을 섭취해야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소금섭취실태는 15-30g정도로 육식을 많이 하는 사람이 소금 섭취량이 낮으며 채식을 위주로 하는 사람이 소금 섭취량이 높다. 그래서 일부 염분 섭취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조사된 결과를 보면 도시 사람이 농촌의 사람에 비해서 소금 섭취량이 낮다. 그러나 섭취하는 육류나 생선 조직 그 자체에 염분이 상당량 함유되어있고 식물성 식품 내에는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있어서 나트륨과 칼륨은 균형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소금 섭취량이 높다.
소금을 섭취하면 신체내의 전해질 균형에 변화가 온다. 전해질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세포로부터 수분이 빠져나가며 혈관내로 많은 수분이 유입이 된다. 그럼으로 혈압이 증가 하게 된다. 일시적인 소금 섭취가 높거나 과량이 아닌 경우에 체내 수분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서 소변 양을 증가 시켜서 혈압을 정상으로 되돌린다. 이렇게 소금 섭취량이 오래도록 지속적으로 높으면 조절기전이 손상되어서 고혈압을 일으킨다. 1980년에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 한 연구결과에 보면 우리나라사람 10-20%의 성인이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하는 민감성을 보였고 나머지인구는 나트륨섭취에 내성을 보였다. 나트륨섭취량은 소금 섭취량의 약 반으로 생각하면 된다.
혈압의 분류를 보면 경계부위는 수축기 혈압이 128-146mmHg이고 이완기 혈압이 84-89mmHg이다. 경증 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7-159mmHg 이며 이완기 혈압이 90-104mmHg 이다. 그리고 경중증 혈압이 160-180mmHg이며 이완기 혈압이 105-114mmHg 이다 중증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고 이완기 혈압이 114mmHg 이상이다.
식품 중에 나트륨 함량을 보면 식품 100g당 함유된 나트륨 mg 함유된 치이다. 나트륨 함량이 최고로 높은 식품은 매 그 식품 100g당 120-207mg 함유한 식품이 조개류, 계란, 샐러리, 토마토 주스이고 쇠고기(61), 닭고기(76), 돼지고기(68) 굴(68),우유(50)이다. 그리고 참치(38) 양배추(21), 양상추(9), 시금치(51) 당근(46) 이다. 가공육이나 가공식품에는 소금양이 첨가되어있다.
고혈압을 자가 진단하는 경우에 다음 사항을 자문해 보아라. 식탁에서 소금을 더 넣어 먹는가? 외식을 많이 하는가? 장아찌 젓갈류를 좋아하나? 통조림 또는 냉동식품을 얼마나 자주 먹나? 화를 자주 내나? 등을 자문해 봄으로써 자기의 식생활을 점검하고 자기 생활을 자중하면서 교양 있게 자기를 다스려 나가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