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소 섭취가 감소하고 육류의 섭취량이 증가하며 대장암이 늘고있다 > 슈퍼푸드 보약먹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슈퍼푸드 보약먹기


 

섬유소 섭취가 감소하고 육류의 섭취량이 증가하며 대장암이 늘고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ALM 댓글 0건 조회 1,157회 작성일 12-07-05 12:24

본문

1960-1970년대 사이에 미국에서 표집단에 대해서 식사 섭취실태와 변의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30년 후에 같은 대상에게 같은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과거 30년 동안에 미극 성인이 섭취하는 낱알로 섭취하는 곡류의 양은 1/3로 줄었고 육류의 양은 3배로 늘었고 70kg 체중이 나가는 성인이 배설 하는 변의 양은 120g 정도로 이전에 비하여 이도 또한 1/3가량으로 줄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놀라운 사실은 대장암의 발병률이 3배로 증가 하였다는 사실이다.
 
지난 세기 말에 이글을 읽은 필자가 겁이 나서 소집단 대학생을 대상으로 변의 양만 조사하였더니 다행히 250-400g이었다.
 
요즈음 우리 주변에서 대장암이나 직장암의 발병률이 서서히 증가 하고 있다. 단적으로 말해서 식사에 섬유소 섭취가 감소하고 육류의 섭취량이 증가하며 식사내용이 부드러운 치스나 마요네즈 같은 연동식을 섭취하면 변의 양은 줄게 되어있다. 변의를 느끼는 것은 일정양의 변이 대장에 모아져야 느낀다. 그런데 이런 연동식으로 일일에 한 번씩 배설해야 할 변의 양이 줄어서 며칠 모아져야 만이 변의를 느껴서 배변을 하게 되면 대장에서는 오랫동안 변 찌꺼기가 머물게 되고 이 동안에 대장은 수분을 흡수해 들이니까 점점 변의 모습이 굳어진다. 그래서 변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배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그뿐만이 아니라 변의 찌꺼기가 대장에 오래 머물면 거기에 기생하는 대장균과 상호작용에 의해서 장내 환경이 산성으로 변할 우려가 있고 이결과 대장 내막이 부식이 되면서 그 자리에 폴립같은 것이 생성이 된다. 이런 상황을 계실염(Diverticular Disease)이라고 하고 이런 개인이 대장암으로 돌변하는 율이 정상인에 비해서 3배 이상 높다.
 
요즈음 우리들의 육류섭취량은 상당히 증가 되어서 과거에는 일인당 20-30g이던 것이 100g 이상이 되었다. 더구나 돼지고기 삼겹살의 섭취량이 상당히 증가 하였다. 과거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현상이 이제 현실이 되어서 소위 고기로 배를 불리는 사람이 서서히 증가 하고 있다. 우리는 전체 섭취하는 식사 중에서 동물성 식품의 섭취 비율이 50%를 육박하고 있다.
 
장점을 지닌 우리음식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김치이다. 김치는 세계인의 5대 건강식품의 한 종류이다. 요즈음 젊은이들 사이에서 김치의 섭취량이 줄고 있다 김치는 섬유소의 보고이고 모든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고이다. 밥과 김치를 먹으면 대장암 같은 질병은 멀리 할 수 있다. 더구나 된장찌개에 김치 그리고 밥은 우리 식사의 핵이다. 우리식사는 여러 가지 암의 예방 그리고 순환계질환의 방지에 추천되는 음식이다. 우리음식의 섭취량을 이전과같이 유지하는 우리 식습관을 다시 찾아야한다.
 
과거 1960년대에서 부터 시작해서 30년 동안에 우리의 경제 성장이 100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돈 잘 벌어서 가족들과 단란하게 먹고 살며 인생을 즐기는 것이 우리의 염원이었다. 그런데 돈 좀 벌었다고 고기로 배불리고 나니까 암이나 당뇨병이 생기질 않나, 가족 간에 불화가 잦아서 가정파괴가 되지를 않나,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자살률이 최고에 달하지를 않나, 이런 통계가 발표 될 때마다 돈의 위력이 무엇이기에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요인이 바로 돈이 되나 하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들이 생각하며 반성해야 될 것이 무엇인지 곰곰이 각자가 자기 생활에서 생각해야한다.
 
우리는 우리 성질대로 돈도 빨리 벌었다. 그리고 고기로 배 채우는 일도 우리 성미 껏 빨리 배를 불렸다. 즐기는 일도 성급하게 세계 각 곳을 방문하는 여행도 하고 싶은 만큼 갔다 왔다. 조용히 앉아서 책상 앞에서 하루를 정리 하는 일기를 적으며 내일을 차분히 계획하는 생활의 질서를 찾아야 할 것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