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색 식품
페이지 정보
작성자 PALM 댓글 0건 조회 2,598회 작성일 12-07-06 10:38
본문
음식의 색깔을 가지고 오행과 연관하여서 보아온 우리 조상들의 건강관에 의하면 검은 색은 수(水)에 해당하며 신장의 기능과 연관이 깊다고 보아 왔다. 그렇기 때문에 신장과 연관이 깊은 장기로 방광과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생각했다. 검은 색 식품은 그 효과가 혈액 흐름과도 관련이 깊어서 혈전 억제, 각종 심장병 완화, 뇌졸중 예방, 그리고 골격 발달에도 관계가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또한 관절의 보강을 해준다고 믿었다. 식품의 검은색을 나타내는 물질은 대개 안토 시안을 함유 하고 있어서 이 성분은 검은 콩, 흑미, 흑임자 등에 풍부하게 포함 되어있고 노화의 원인 제공을 하는 활성 산소를 제거 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
검은색 식품으로 우리가 항상 대하는 식품은 가지, 포도, 검은콩, 김, 미역, 흑임자, 불루베리 등등을 들 수 있다.
가지
가지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유사이전 시대부터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된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서구 사회에는 1500년경 이후에나 알려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544년경에 농산물 문서에서 발견되었고 서구사회에는 중세 초기에 아랍인에 의해서 지중해 연안에 소개 되었다.
가지의 생것은 좀 쓴맛이 있다. 그러나 물에 익히면 조직이 부드러워 지고 연해진다. 가지의 껍질은 얇아서 세계인들이 대개 껍질을 버끼지 않고 요리를 한다. 가지의 껍질의 색깔이 진한 보라색으로 거의 검은색을 띠우는 그색 때문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항산화의 효과가 강한 안토시안성분이 바로 가지의 겉껍질의 색깔 속에 함유되어있다.
세계 각국에서 가지를 생산하고 있는 2008년 총 생산 양은 약 3207.3 톤으 로 이중 반이 넘는 1803.3톤은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보아서 중국인이 가지 요리를 즐겨 먹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나라가 인디아로 중국생산량의 반도 못미치는 845톤 정도이다. 일본인도 가지를 비교적 즐겨 먹는데 이들의 생산양은 37.5톤정도이다.
브라질의 산파울로 대학에서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가지의 섭취를 고콜레스테롤증세를 완화하며 혈중 콜레스테롤양을 나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가지는 체내 대사중 자유기의 형성을 막으며 콜레스테롤 수준을 조절하며 가지에 K 와 엽산의 좋은 급원으로 보고 되고있다. 그러나 가지에는 먹을 수있는 어떤 식물성 식품에비해서 니코틴 함량이 높다. 가지 9kg 내에는 씨가렛에 함유된 니코틴 함량과 맛 먹을 만 큼 함유 되어있다. 그러나 음식으로 먹을 때 그렇게 다량은 섭취 할 수가 없다.
가지의 영양가 분석을 하면 모든 영양소가 소량 식 함유되어있다. 그중에서 엽산의 함량과 칼시움, 마그네시움 그리고 포타시움의 함량이 비교적 높다. 그럼으로 다량 섭취하면 혈압을 올리는 소디움이나 염소의 함량이 거의 없고 그리고 다량 섭취하면 혈압을 나추는 칼시움, 마그네시움, 그리고 포타시움, 엽산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혈압조절에 양호한 식품으로 추천 할만하다. 요지음 화이토케미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과거에는 가지는 색이 너무 짙어서 어린이나 일부 어른들도 가지를 선호하지 않았는데 최근에 가지의 색에서 오는 안토시안의 항산화의 역할이 높기 때문에 대중들에게서 건강 식품으로 환영을 받고있다.
검은콩
일반적으로 두류하면 일년생 식물로써 고대 아메리카 대륙의 중부 와 안데스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재배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는 세계 전역에서 먹을 수 있는 콩은 자라고 있고 가장 흔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은 마른 콩과 녹색콩(Green bean)이다. 미 대륙의 원주민이 콩과 호박 그리고 옥수수 이세가지가 그들이 지어온 농산품 삼 자매로 꼽히고 있다.
마른 콩은 섭취하기 전에 물에 서너 시간동안 담가 두었다가 물을 딸아 버리고 새물을 붓고 적어도 10분정도 끓여서 먹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콩 속에 함유된 독소인 렉틴 화이토헤마글르티닌(Lectin phytohaemagglutinin ) 이 함유되어있어서 생콩을 섭취하면 소화 불량을 초래한다. 이 독소는 붉은 강낭콩 과 힌색 강낭콩에 많이 함유되어있다.
두류는 전반적으로 전분과 단백질 그리고 식이 섬유의 함량이 높다. 그리고 무기질 중에 철분(Fe), 포타시움(K), 쎌레니움(Se), 몰리브덴(Mo), 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 중에서 지아민(B1) 비타민 B6, 그리고 엽산의 함량이 높다. 콩의 종류 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콩에는 칼슘(Ca)도 상당 양 함유되어있다. 위에 명시된 영양소 이외에도 지방을 위시해서 다른 비타민과 무기질등도 소량씩 함유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주변에서는 콩은 땅에서 나는 고기라고 흔히 말한다.
검은콩에도 다양한 종유가 있는데 대체적으로 중남미 여러 나라에서 검은 콩을 많이 먹고 있다. 검은콩은 그 맛이 고기 맛도 나고 또한 버섯을 대신할 만큼 버석 향도 중남미 사람들은 즐긴다. 중미대륙에 사는 멕시코 인들은 검은콩으로 뷰리토(burrito)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또한 부라질에서 도 대단히 흔하게 먹고 있다. 브라질 국민이 일상 식으로 먹고 있는 훼조아다(feijoada)는 검은콩을 돼지고기와 함께 흠씬 고아서 만든 콩 범벅 같은 음식인데 이 음식이 브라질 “국민 음식”으로 불리고 있다. 큐바 에서 도 검은 콩은 많이 소비되고 있다. 이처럼 라틴 아메리카 인들이 즐겨 먹어 왔다.
최근에 검은콩은 우리 한국인 사이에서도 즐겨 찾는 영양식으로 검은콩의 검은 색소가 강한 항 산화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단히 환영받는 식품이 되어있다. 최근 현대인이 고민하는 심혈관계 질환을 비롯해서 각종 암 심지어는 당뇨병 까지도 신체내 에서 대사시 에 생성되는 자유기에 의해서 세포막을 위시해서 각종 세포기능을 산폐 시켜서 이러한 병을 유발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검은 콩의 항산화 기능은 대단히 유용한 기능으로 생각한다. 검은 콩을 먹으면 흰머리가 검어진다고 하는데 이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검은콩의 강한 항산화의 역할이 체내에서 체 색소 합성에도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검정깨(희금자)
깨는 그 종이 다양하다. 흰색의 깨부터 검정색의 깨까지 있다. 깨는 일년생 초이며 그 씨를 먹는다. 깨는 인디아에서 최초로 재배되었다고 한다. 고고학자의 기록에 의하면 2250BC 와 1750BC 사이에 인디아의 인더스 계곡의 하라파(Harappa)에서 재배된 고고학적인 흔적이 있다. 그런데 깨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근방(Sub-saharan)에서 자생하는 원생 식물로 알려져 있다.
깨는 색깔에 관계없이 기름이 풍부한 씨로 자란다. 일반적으로 서구 세계나 중동에서는 연한 색깔의 깨를 더 가치 있게 친다. 검은 깨는 극동지방에서 더 가치를 둔다. 깨는 기름을 짜서 쓰며 또한 깨 자체로도 음식에 쓴다. 서구사회에서는 햄버거 번 겉에 깨를 얹어서 쓰기도 하고 크랙커 구울때 섞어서 굽기도 하며 일 본 사람들은 스시 말을 때도 깨를 뿌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약념으로 참기름 그리고 깨소금의 형태로 음식 조리 할 때에 쓰며 희금자 깨는 색깔로 떡 위에 고명으로 언기도 하며 별식으로 희금자죽, 또는 다과 상에 내놓는 희금자 강정 과 다식등등 에 많이 쓴다.
검은깨의 영양가는 흰깨나 별반 다름이 없이 문헌에서 취급하고 있다. 깨에는 칼슘(Ca) 함량이 의 외로 높으며 한 큰 술의 깨 속에 90mg 이나 함유되어있다. 그 이외에도 망간(Mn) 과 동(Cu) 도 함유되어있다. 비타민으로 깨속에 함유된것은 비타민 B1, 비타민 E 가 함유되어있어서 참기름에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의 산패를 비타민 E가 방지 해준다. 특히 깨에는 화이토에스트로젠인(phytoestrogens) 인 리그난(lignans) 이 함유되어있어서 이는 항산화와 항암의 특성을 지니고있다.
식물성 기름중에서 깨기름이 강력한 항산화기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 되고있다. 또한 깨에는 화이토 스테롤(phytosterol)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있다. 특히 깨를 가루로 빠서 먹으면 화이토 스테롤의 흡수가 빨라 진다. 우리들이 깨소금의 형태로 약념을 쓰고 있는데 이는 깨를 섭취하는 좋은 방법이었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고대 바빌론의 여성들은 할바(halva) 라는 것을 미용식으로 먹었는데 이는 꿀에다 깨를 섞어서 만든 것인데 이는 미용과 젊음유지를 지속시켜 준다고 믿어서 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로마의 군인들은 힘과 에너지를 준다고 생각해서 깨를 섭취하였다는 고대 기록도 있다.
검은 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하는 검은 쌀을 위시해서 몇 종류의 검은 쌀이 세계적으로 감추어진 쌀(Forbidden Rice), 또는 야생 쌀(Wild Rice)이라는 이름으로 존재 하고있다.
영양가가 높은 쌀로 알려진 검은 쌀은 철분의 함량이 높고 섬유소의 함량이 높다. 또한 조리 하였을 때에 짙은 갈색이나 검은 색에 가까운 색을 띠는것은 안토시안닌 (Anthocyannin)의 함량이 높아서 나타나는 것이다. 안토시안닌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항산화의 역할이 강한 물질이다. 최근 많은 성인들이 고민하는 성인병이라고 일컽는 병은 대개가 심혈관계 질환, 각종 암, 심지여는 당뇨병 까지 체내에서 대사 시에 생성되는 자유기의 산화작용을 방지해서 세포막의 손상 또는 유전자 질소물질의 배열의 손상등을 막아서 이러한 성인병의 발병을 감소시킨다는 의미에서 안토시아닌의 효능은 노화방지, 항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및 산화 LDL 생성 방지를해서 동맥경화 방지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요즈음 미국을 위시해서 세계 여러 곳에서 건강식품 상점에서 검은 쌀을 건강 식품으로 선전하면서 팔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유전자 조작 식품이 아니며 야생 쌀이라는 생각으로 팔지만 최근에는 이검은 쌀도 재배 되고 있다. 검은 쌀은 몇가지의 중요한 아미노산을 공급한다고 하며 이에 부과해서 검은 색은 화이토 영양소(phytonutriens) 를 공급하고 식이 섬유소 함양이 높아서 건강식품을 찾는 이들에게 환영을 받는다.
불루베리 (Blueberry)
불루베리는 북미주에 야생하는 원생식물로 알려저 있다. 그러나 요즈음 남반구에도 퍼저서 호주, 뉴질랜드, 남미의 여러 나라에서도 생장하고있다. 그럼으로 비행기로 실어 날어서 세계 여러 곳의 시장에서 팔리고있다.
불루베리는 미량 영양소중에서 망간(Mn)을 비교적 다량 함유하고 있고 이는 특히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내에 다량 함유하고있다. 그럼으로 섭취한 열량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어서 ATP를 생성하는데 이작용을 원할히 하는 것이 망간이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6가비교적 다량 함유되어있는데 이는 단백질 대사시에 필수적인 비타민이다. 비타민 C는 우리 신체내에서 항산화의 역할을 하며 신체의 관절 마디마디 마다 연골 형성에 작용이있다. 비타민 K는 주로 골격형성과 혈액응고에 특효가 있는 비타민이다. 이로 써 불르베리의 종합적인 기능은 우리의 대사를 원만히 그리고 신속하게 하도록 하는 작용이 있고 항산화의 작용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제시한 영양소이외에도 불르베리는 각종 열량소 그리고 비타민 무기질 특히 Ca의 함량도 높다.
최근 연구자들은 불루베리의 화이토 케미칼을 분석한결과 앤소사이아닌(Anthocyanins), 프로앤소사이아니딘(Proanthocyanidins), 레스버라스톨(resveratrol), 훌라본놀(flavonols), 그리고 탄닌(tanins)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들의 기능이 암세포 생성을 방지하며 체내에 생성되는 염증을 방지 한다.
2007년에 발표된 심포지엄에서 부루베리를 섭취하면 알쯔하이머(Alzheimer)병 발생으로 기억력의 저하되는 것을 경감 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동물 실험을 통해서 보고된 바에 의하면 불루베리를 섭취한 동물이 스트록(stroke)으로 인한 뇌세포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가 있다고 한다. 불루베리의 효능에 대해서 특히 많은 관심을 뫃아온 것은 항 노화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작용의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산화작용에 의한 노화의 진행이 빨라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불루 베리에 함유된 다양한 화이토케미칼은 강한 항산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화토케미칼들은 불루베리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있다고 한다.
포도
포도에는 다양한 종이 있어서 심홍색, 검은색, 짙은 보라색, 노란색, 초록색, 그리고 분홍색 등등 색이다양하다. 붉은색부터 검은색에 이르는 포도는 모두 안토시안닌을 함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포도는 지중해연안 과 중앙 아시아에 유럽풍의 포도 과수원에서 유래된 원생종이다. 포도와 포도주의 소량만이 미국과 아시아에서 생산된다. FAO의 통계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포도의 총량 중에서 71%의 양이 포도주 생산에 쓰이고 오로지 27%만이 과실 형태로 소비 되며 2%정가 건포도로 가공된다. 포도 주스로 가공된 주스는 모두 가 당이 되지 않은 천연주스 상태로 병조림 또는 통조림 된다. 2008년의 통계에 의하면 세계적인 포도 생산양은 약 4만7000 만 톤 정도이며 이중 이태리가 단연 일위 생산을 하며, 다음이 프랑스, 그리고 다음이 중국의 순으로 생산 되고 있다.
붉은 포도와 청포도의 영양 가치는 비슷해서 100g포도 내에 서당이 약 16g이나 함유되어있고 비타민 C의 함량이 성인 일일 요구량의 18%나 함유되어있고 비타민 B6의 함량도 높아서 성인 일일 요구량의 7%나 함유되어있다. 그리고 비타민 B1과 B2의 함량도 성인 일일 요구량의 5%나 함유되어있다. 그리고 무기질인 포타시움(K)과 망간(Mn)의 함량도 비교적 높아서 성인 일일 요구량의 약 4%나 함유되어있다. 이들 무기질은 충분히 섭취하면 혈압을 떠러뜨리는 작용을 한다. 기타의 비타민과 무기질은 소량씩 함유되어있다.
프랑스 파라독스(French Paradox)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프랑스 파라독스 (French Paradox)” 는 프랑스인이 상당양의 동물성 육류를 소비하는데도 불구하고 심장병의 이환율이 낮다는 그 사실을 뜻한다. 검은 포도의 껍질에 함유된 여러종류의 폴리훼놀물질에서 얻는 이익이 많은 것으로 본다. 프랑스인은 거의 규칙적으로 붉은 포도주를 마시며 이로 인해서 1) 혈관의 손상을 입을 수 있는 기회가 감소하며 2) 혈관의 수축이 이러나서 나타나는 혈압 상승이 될 수 있는 기회도 감소하고 3) 혈관 내벽의 긴장을 완화 시키는 홀몬 생성을 증가 시켜서 혈압상승을 막는 결과를 초래한다.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검은포도에 함유된 화이토케미칼의 일종인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 은 폴리훼놀 계통의 물질로 항산화제이다. 이물질은 항암제로 또한 심장병 이환율을 나추는 물질로 또한 퇴행성 신경질환의 일종인 알쯔하이머병의 이환율을 나추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연구되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유전자 수준에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서 골격근육의 항 노화작용도 한다. 이물질은 포도 뿐만이 아니라 다른 식물에서도 합성이 되는데 이는 LDL(Low density lipoprtein) 의 산화를 막아서 동맥경화이환율을 감소 시킨다.
앤소사이아닌 과 기타 페놀 물질들(phenolics)
앤소사이아닌은 검은 포도의 주요 폴리훼놀(polyphenol) 물질이며 많이 함유되어있고 카테킨(Catechins)는 흰색이나 엷은 청포도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훼놀 물질이다. 검은 포도 껍질에 다량 함유된 앤소사이아닌은 강한 항산화제이며 검은 포도에 함유량도 높아서 흰 포도나 엷은 청포도와 비교가 안 된다. 붉은 포도주를 섭취함으로 얻는 건강상의 이익은 바로 검은 포도껍질을 함께 발효시켜서 만든 포도주가 바로 붉은 포도주이다. 붉은 포도주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훼놀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있어서 검은 포도가 청 포도나 백포도에 비해서 건강상 끼치는 유익이 훨씬 더 만은 것으로 나타나있다.
김
김은 알지(Algae)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붉은색, 초록색, 갈색이있다. 그러나 이들이 모두 김이라고 볼수없으며 청색과 초록색이 합해있는 알지(Bluegreen algae)가 김으로 생각하기 도 한다. 김이 자라는 조건은 바닷물에서 햇볓이 내려 쪼이는 곳에서 광합성에 의해서 김이 자란다. 김은 세계적으로 바다 가까이에 있는 국가들이 대개 식품으로 섭취 하고 있다. 극동의 여러나라, 일본, 중국, 한국, 타이완, 베트남등의 나라에서 먹고있고 기타 다른 나라 인도네시아, 페루, 일부 카나다 인들, 스칸디나비아, 아일랜드, 필립핀 등 이다.
김은 아가(agar), 카라지난(carrageenan), 기타 껄죽 한 젤라틴물질들을 축출하기위해서 김을 양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물질은 제약에 다양하게 이용된다.
김은 요드(iodine)함양이 높아서 갑상선 홀몬의 결핍으로 갑상선이 비대해진 갑상선대증( Goitre) 발생 방지나 치료제로 섭취 시킨다. 갑상선 비대증은 바다가 에서 먼 산간 사람들 또는 내륙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이들에게 요드를 먹이기위해서 소금 같은 데에 요드 를 강화 해서 요드 소금을 대중에게 섭취할것을 권장한다.
또한 김에는 요드의 함량이 높은것 이외에 칼슘(Ca) 과 마그네시움(Mg)의 함량이 높다. 이러한 무기질은 신체내로 충분 량 섭취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골격구성에 기여하여서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미역
미역은 일본말로 “와가메”라고 하는데 이 말이 영어 사전에 처음 나타난 것이 1867년이다. 이사실로 미루어 보면 이때에 서양이 동양으로 기독교 선교사를 파견하였고 일본과 한국이 서양을 향해서 개국을 하던 시기로 본다. 동양의 식생활이 서양에 소개 되면서 서양인에게 생소한 식재료 중에서 미역이 사전에 소개 되었을 것으로 추축한다. 현재에는 미국에 가 있는 일본인과한국인에 의해서 널리 소개 되고 있다.
북해도 대학 연구팀에의 하면 미역 속에서 후고산틴(fucoxantin)이라는 물질이 분리되었고 이 물질은 체지방을 분해시켜서 체내 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고 하였다 고로 미역은 비만 방지에 좋은 식품으로 천거 할 수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미역이 혈액을 청정하게 하고 내장 장기능을 강건하게 하며 피부와 모발을 보호한다고 한다. 그리고 생식기관을 보호하며 월경의 규칙성을 지켜 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산후에 산모가 미역국과 흰밥으로 산후 조리를 하는데 이는 산모의 유즙 분비를 돕고 산후 후유증을 방지 해준다는 의미로 산후에는 반듯이 미역국을 먹는 것이 한국의 전통이 되어있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속담처럼 학교에 입학을 하지 못 하였을 때에 미역국을 먹었다고 한다. 미역의 미끈미끈한 특성 때문에 미끄러졌다는 뜻으로 속담처럼 쓰이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