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부 롬니'소득세 덫' 美공화 경선 복병으로 > 돈 냄새나는 사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돈 냄새나는 사람


 

갑부 롬니'소득세 덫' 美공화 경선 복병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708회 작성일 15-07-26 03:52

본문

"세율 15%" 고백이 화근, 근로자 절반 불과 논란
조세형평 선거 쟁점화, 깅리치 등 맹공세 나서
 
미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유력한 미트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가 연간 수백만 달러를 벌면서도 세율은 봉급생활자 보다 낮아 논란이 커지고 있다. 법정 세율에 따른 것이지만 조세형평, 소득불균형 문제가 선거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미 언론이 전했다.
롬니는 17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소득세율이 15%에 가까울 것"이라며 "지난 10년간 소득 대부분이 근로소득이 아닌 투자에서 나온 것이라 세율이 낮다"고 해명했다. 미국 봉급생활자 대다수는 근로소득의 35%를 세금으로 납부해 세율이 롬니보다 2배 이상 높다.
롬리는 또 지난해 연설로 37만4,327달러를 벌어들인 것이 "그리 많은 게 아니다"고 해 비난을 자초했다. 뉴욕타임스는 "그 정도 수입은 연간 소득 상위 1%에 해당하는 금액"이라고 지적했다. 롬니가 2010년과 지난해 9월까지 펀드, 투자이익 등을 합쳐 올린 수입 960만달러에 비하면 미미한 액수일 수는 있다. 롬니의 부인 앤은 지난 크리스마스 때 '남편에게 가장 받은 싶은 선물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말(馬)'이라고 답해 일반 정서를 모르는 부유층이란 지적을 받았다. 1억9,000만~2억5,000만달러의 재산을 보유한 롬니는 역대 대선주자 중 최대 재산가다.
21일 사우스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예비선거)를 앞두고 벌어진 이번 논란은 공화당 경선주자들의 견제에서 비롯됐다. 16일 토론회에서 경쟁자들이 거론한 세금문제에 대해 롬니가 "4월에 공개하겠다"고 넘어가자, 다음날 뉴트 깅리치 전 하원의장은 "유권자에게 뭔가 숨기려 한다"고 재차 공격했다. 15%의 일률과세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깅리치는 "앞으로는 공약을 '미트 롬니 일률과세'로 부르겠다"고 비꼬았다. 롬니 측으로부터 '가미카제(자살공격자)'라는 험담을 들었던 깅리치는 이번에 롬니 저격수 역할을 톡톡히 했다.
미국은 자본이득, 배당금 같은 투자이익은 투자회사에서 법인세 등을 납부하고 남은 이익을 나눈 것이란 점에서 낮은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부자증세 논란을 야기한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의 세율이 직원보다 낮은 것도 같은 이유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0년간 자본이득의 절반 이상이 상위 0.1%에 귀속됐다고 보도했다. 롬니는 지난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제안한 부자증세를 위한 버핏세에 반대했다.
 
한국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