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식 망원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2,740회 작성일 12-06-18 22:31
본문
반사 망원경의 기본 원리는 빛의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경통으로 들어온 빛은 주반사경에서 반사되어 빛을 모으고 상을 맺게 한 후 접안렌즈로 그 상을 확대해 보게 된다. 반사 망원경에는 기본적으로 2개의 반사경이 사용되는데 그 각각을 주경(주반사경), 부경(부반사경)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주경은 굴절식의 대물렌즈의 역할을 하지만 거울을 사용했기 때문에 굴절식처럼 색수차가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이 굴절식에 비해 쉽다. 그러나 반사경의 코팅이 자꾸 벗겨서 계속 코팅해주어야 하는 단점과 광축에 의한 관측의 오차가 크다. 또 경통이 개방되어있어 공기의 흐름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반사식 망원경은 크게 뉴턴식과 카세그레인식으로 구분한다. 뉴턴식에 추가된 보정판의 형태에 따라 슈미트 뉴턴식, 막스토프 뉴턴식, 라이트 뉴턴식, 하우톤 뉴턴식으로 나누고, 카세그레인식의 주경과 부경의 형태에 따라 오리지널 카세그레인식, 돌 커크햄식, 리치 크레티엥식, 프레스만 캐미셀식, 러브데이식으로 나누고,카세그레인식의 주경 및 부경 이외 추가한 보정판 형태에 따라 슈미트 카세그레인식, 라이트 카세그레인식, 하우톤 카세그레인식으로 나눈다.
초기에는 기술력의 부족으로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지금은 자작도 쉽고 가격도 굴절식에 비해 싸므로 많은 인기가 있다. 대물렌즈 대신에 오목거울을 사용하여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생기는 색수차를 제거 하였으며, 굴절식에비해 짧은 경통에서 긴 초점거리를 만들어 낼수 있다. 요즘 초보 자작파들이 주로 자작하는 망원경이다.
프랑스의 카세그레인이 고안한 것으로서, 포물면인 주경에 의하여 결상된 상을 쌍곡면의 부경으로서 확대하여 주경의 초점을 경통 밖으로 뽑아 내는 방식이다. 2차경이 볼록면경으로 되어 있어 합성 초점거리를 주경 초점거리의 몇 배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긴 초점거리에 비해 경통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주경에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구경이 작은 망원경은 잘 만들지 않고 구경이 큰 망원경에 사용된다.
나스미스에 의해 최초로 고안되었다. 3차경에서 빛을 재차 반사시켜 망원경의 극축에 따라 빛이 나오도록 제작된 망원경이다. 분광기나 카메라 측정장치 등 무거운 관측기자재를 경통에 장치하여 일주운동을 추적할 필요 없이 바닥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단점으로는 광경로가 많아 빛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대구경 망원경들은 뉴턴, 카세그레인, 쿠드의 세가지 방식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스코틀랜드의 그레고리가 창안 것으로 주경에 의해 결상된 1차 상을 부경(타원면)을 이용하여 다시 2차상으로 확대하여 주경 뒤쪽에 결상시킨다. 2차경을 오목면경으로 사용하고, 주경의 초점 밖에 2차상이 놓이므로 정립상이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주경은 굴절식의 대물렌즈의 역할을 하지만 거울을 사용했기 때문에 굴절식처럼 색수차가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이 굴절식에 비해 쉽다. 그러나 반사경의 코팅이 자꾸 벗겨서 계속 코팅해주어야 하는 단점과 광축에 의한 관측의 오차가 크다. 또 경통이 개방되어있어 공기의 흐름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반사식 망원경은 크게 뉴턴식과 카세그레인식으로 구분한다. 뉴턴식에 추가된 보정판의 형태에 따라 슈미트 뉴턴식, 막스토프 뉴턴식, 라이트 뉴턴식, 하우톤 뉴턴식으로 나누고, 카세그레인식의 주경과 부경의 형태에 따라 오리지널 카세그레인식, 돌 커크햄식, 리치 크레티엥식, 프레스만 캐미셀식, 러브데이식으로 나누고,카세그레인식의 주경 및 부경 이외 추가한 보정판 형태에 따라 슈미트 카세그레인식, 라이트 카세그레인식, 하우톤 카세그레인식으로 나눈다.
뉴턴 식 |
![]() |
주경 : 오목면경 부경 : 평면사경 최초발명자 : 아이작 뉴턴 발명년도 : 1668 사용용도 : 자작용 망원경 및 천체관측용 반사망원경 |
카세그레인 식 |
![]() |
주경 : 오목면경 부경 : 볼록면경 최초발명자 : 카세그레인 사용용도 : 천체관측용 반사망원경 |
쿠드 식 |
![]() |
최초발명자 : 나스미스 발명년도 : 1668 사용용도 : 분광기나 카메라 측정장치 무거운 관측기재를 경통에 장치 할때 사용 |
그레고리 식 |
![]() |
최초발명자 : 그레고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