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꾸는꿈 4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알고꾸는꿈


 

Total 121건 4 페이지
알고꾸는꿈 목록
 뇌는 모두 2백억 개의 신경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신경단위는 하나하나가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하나의 신경단위에서 만들어진 에너지(정보) 즉 뇌의 인식활동은 뇌의 다른 신경단위로 활동전위를 통해서 전달이 된다.     한 신경단위는 1만 개의 다른 신경단위와 동시에 전달이 가능하다. 이 말은 한 사람이 1만 명의 사람들과 동시에 전화통화가 가능하다는 말과 같다. 즉 뇌의 인식활동은 순식간에 온 뇌로 전파되면서 작용하는 것이 마치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비…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5 조회 1200 더보기
위와 같은 현상으로 볼 때 신경전도는 항상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알게된다. 의식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신경전도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신경의 반사작용이 오가는 길은 두 길임에 반해 의식작용(두뇌작용)은 한 방향으로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예를 든다면,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자극이 신경전도를 통해서 뇌에 들어오면 이미 있었던 다른 정보들과 합쳐지면서 마땅한 반응이 나갈  때도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안 나갈 때도 있을 것이다.    또한 뇌에서는 스스로의…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5 조회 1205 더보기
카잘의 신경단위설이 인정을 받기까지에는 시간이 걸린다. 왜냐하면,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신경이란 개념은 뇌로부터 근육과 각 기관에 뇌의 명령을 전달하는 연결선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머지않아 그의 신경단위설이 널리 인정을 받게된다.   신경단위는 자연스럽게 신경 사이의 시납시스(synapsis, 연접)로서 신경이 전달됨을 알게 되었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사실로서 신경연접이란 바로 신경전도물질(나중에 기술됨)이 있음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얼마 되지 않아서 신경전도물질들이 발견되기 시작한다.&n…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3 조회 1128 더보기
신경단위의 역할을 이해하려면 활동전위에 대한 이해를 해야한다. 카잘의 신경단위가 인정을 받을 즈음해서 새로운 개념인 신경전도에 전기가 있어야 한다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다. 즉 신경이 전도되는 작용은 전기적이라는 개념이고 또한 이 개념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것이다.  전기적인 자극이 신경전도에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난 후에는 신경과 뇌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된다. 개구리의 좌골신경을 전기로 자극했더니 개구리의 다리가 뛰게 됨을 관찰한 것이다.    인간의 의식이 정적인 것이 아…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3 조회 1166 더보기
 스페인의 신경해부학자인 산티아고 라몬 카잘(Santiago Ramon Y Cajal)은 1906년에 신경단위라는 개념을 도입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게된다. 카잘을 현대 신경생물학의 시조라고 부른다. 카잘 전에는 신경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이다. 카잘의 공로는 하나의 신경을 단위로 생각해서 신경단위 차원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카잘과 후로이드는 동시대의 사람들로서 두 사람 다 신경생물학과 심리학 두 가지에 대하여 모두 관심을 갖고있었다. 그러나 후로이드는 신경생물학을 버리…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2 조회 1344 더보기
사람의 마음이 어디로부터 오는 지에 대하여 사람들은 알고싶어 했다.  희랍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384-322 BC)는 인간의 마음이 심장과 뇌 사이에 있으면서 오간다고 말하면서 마음이 있는 곳을 알려고 애를 썼다. 형이하학적이며 과학적인 발상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다음으로는 의사인 갈렌(129-199 AD)이 실험을 통해서 사람의 마음은 인간의 두뇌에 있다고 설파한 바 있다. 갈렌의 실험은 다음과 같았다.   원숭이의 뇌를 압박했더니 원숭이가 의식을 잃는데 반해 원숭이의 심장을 압…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1 조회 1190 더보기
 후로이드는 본래 신경생리학의 배경을 갖고있었다. 그러나 그는 신경생리학을 그의 꿈 연구에서 배제시켜 버렸다. 주된 이유는 당시에는 신경생리학을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인 뒷받침과 연구시설이 태반 부족했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신경생리학을 꿈 연구에 쓰고 싶었어도 쓸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후로이드는 신경생리학과 뇌에 대한 연구가 꿈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을 줄 수 있으리라고는 믿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과학 수준으로는 후로이드가 꿈 연구에 이들을 쓸 수 없었음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후로이드의 예상대로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1 조회 1121 더보기
꿈을 꾸면서 울고 웃는 사람들이 있다. 이때 잠자는 사람을 깨워서 물어보면 울고 웃는 내용의 꿈을 꾸고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REM 수면의 특징은 호흡과 관련된 근육과 심장을 제외하고는 몸의 모든 근육이 마비된다. 따라서 꿈 내용을 따라갈 수 없게된다. 온몸의 근육이 마비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고 웃을 수 있다는 말은 꿈속에서의 감정은 그만큼 진했기 때문인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꿈속에서의 감정이 진할 때는 같은 감정이 깨어 있을 때까지도 연장이 되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꿈속에서의 감정은…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20:00 조회 1109 더보기
 현대 과학에서는 꿈의 특징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특정 짓고 있다. 1) 꿈으로부터 오는 감정이 아주 강렬하여 가끔가다 잠에서 깨어날 정도이다. 2) 시간, 장소, 등장인물, 사건내용 등이 비논리적이고 꿈 내용의 흐름이 건너뛴다. 3) 꿈을 통해서 얻는 감각에 이상이 있다. 또한 꿈에서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인다. 5) 꿈을 꾸고 난 후에도 이를 기억하기 쉽지 않다.   위의 다섯 가지 꿈의 특징은 꿈을 꾸는 사람들은 누구라도 쉽게 수긍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9 조회 1140 더보기
현대과학에서는 꿈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하고있고 또 꿈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과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반 의학에서는 꿈을 별로 다루지 않고 있다. 심리학과 정신과의 특수분야에서 꿈을 깊숙이 다루면서 환자치료에 응용하고 있다.   현대과학에서 꿈을 다루는 효시는 아무래도 후로이드와 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과학적이면서도 깊은 관찰을 통해서 꿈에 대한 이론을 정립한 다음 이를 환자치료에 응용했다. 오늘날 꿈에 대한 거의 모든 연구가 후로이드와 융의 업적을 떼어놓고는 생각할 수 없을 만큼 그들이 꿈 연구에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9 조회 1088 더보기
유대교 랍비인 요엘 코빗츠가 앞에 기록된 유대인들의 꿈 배양 의식을 현대인들에게 맞도록 고친 내용이 있다.   긴장을 풀면서 명상 속에 들어가 꿈 주인(dream master)에게 원하는 꿈을 꾸게해달라고 요청하는 방법이다.   이는 하나의 예이고 각자에게 맞는 꿈 배양 양식을 만들 수 있다.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8 조회 1163 더보기
유대인들에게도 꿈 배양의 전통이 있다. 이들은 꿈 배양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었고 또한 실지로 이를 응용하고 있었다. 특히 어떤 의식을 통할 때 꿈을 유도할 수 있다고 믿었다.   꿈 배양의 가능성은 꿈은 여호와로부터 오는 것이라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다. 특히 개인적인 문제가 있을 때 꿈 배양을 통해서 여호와로부터 오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유대인들의 꿈 배양을 알고자 하면 꿈 주인(dream master)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유대인들의 전통에 의하면, 꿈 주인은 가브리엘을 가르친다.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8 조회 1148 더보기
 희랍시대부터 있어오던 전통으로 희랍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었다.   꿈 사원에 도착하면 찬물로 목욕을 하여 몸을 깨끗하게 하여야 할뿐만 이니라 마음도 깨끗하게 유지함으로서 원하는 꿈을 꿀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깨끗한 마음이란 걱정과 번뇌로부터 벗어나서, 오직 병이 치유되는 꿈을 꾸기를 위한 집중된 정신상태를 말하고 있다.  이 전통은 희랍문화권에 골고루 퍼져 있었고 심지어는 초대 기독교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중세 전에는 꿈이 인간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고 생각했…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7 조회 1107 더보기
꿈 배양이란 원칙적으로 꿈을 통해서 병을 고치려는 노력을 하는 방법이다.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6 조회 1331 더보기
현대의 꿈 연구에 REM수면을 빼놓고는 말이 되지 않는다. REM수면은 꿈을 꾸는 잠이라는 것을 알아내게 된 것이다. REM수면이 알려지기 전에는 꿈을 연구하려면 잠자는 사람을 깨워서 지금 꿈을 꾸고있는지 여부를 물어보았는데, 어떤 때는 꿈을 꾸는 시간과 일치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 꿈꾸는 시간을 알아 맞추지 못할 때가 있었다. 그러나 REM수면 중 꿈을 꾸게 됨으로 꿈 연구에 획기적인 계기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현재 미국에는 꿈 연구소가 여러 곳에 있다. 큰 대학 실험실을 중심으로 꿈을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6 조회 1157 더보기
후로이드와 융이 꿈과 꿈 해몽에 대하여 세운 업적은 아무도 이를 뛰어 넘을 수 없을 만큼 위대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19세기로부터 20세기에 걸쳐서 동시대에 활동했으며 같은 기간 동안 활발하게 진행된 무의식과 꿈에 대하여 서로 간에 연구조사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다. 그러나 이 둘이 무의식과 꿈의 연구조사 결과로부터 받는 영향은 아주 틀린다.  후로이드의 무의식과 그의 꿈해몽이 너무나 성과 밀착되어 있다는 비평을 듣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후로이드가 현대에 들어와서 그의 저서인 꿈 해몽(The Interpretati…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5 조회 1498 더보기
19세기에 들어와서 과학의 발달이 본격적으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의 과학은 오늘날의 과학과 별다름이 없는 틀과 내용을 갖고 있었다. 특히 알기 어려운 무의식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있었고, 무의식과  꿈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들은 무의식의 발로가 꿈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심리학의 대두는 무의식과 꿈에 대한 연구에 더 활발한 박차를 가하게 된다. 실험 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 심리분석학(psychoanalysis)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5 조회 1124 더보기
중세의 꿈 연구에는 솔로몬 알몰리를 빼어 놓고는 언급할 수 없을 정도로 그는 꿈에 대하여 당시로서는 가장 과학적으로 또한 신학적으로 꿈을 연구한 바 있다.   유대교 랍비로서 또한 의사로서 꿈에 대하여 당시의 과학으로 또한 성서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한 후 유대교의 전통적인 꿈에 대하여 집대성을 해 놓은 바 있다.   그의 꿈 연구는 현대에서도 인용되고 또한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꿈 해몽(dream interpretation)은 각국어로 번역되어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출판되고 있을 정도이다.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4 조회 1149 더보기
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변호론자(apologists : 기독교의 진리를 지식으로 변론해가면서 이를 증명하려고 한 2세기경의 로마와 희랍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지식인)들이 그들의 논거를 펼치며, 꿈이란 하나님과 인간이 만날 수 있는 매체라고 주장하면서 논리로 이를 증명하려고 노력한 바를 들 수 있다.   저스틴 마터(Justin Martyr), 이레니우스(Irenaeus), 클레멘스(Clement), 오리젠(Origen), 터튤리언(Tertullian) 등이 있다. 이들이 주장했던 바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이 된다.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3 조회 1184 더보기
가장 오래된 꿈 연구의 시초는 희랍시대에 꿈 사원을 들 수 있다.  이스켤레피어스(Aescylapius)라는 의신이 있는 사원에는 승려들이 신으로부터 치유의 꿈을 유도하여 병을 고치는 전통이 있었다. 이들은 꿈을 인도하면서 꿈을 꾸는 순간에 사람을 일깨우고 꿈의 내용을 물어보면서 병에 대한 진단은 물론 병으로부터 치유가 되는 꿈을 유도했다고 한다.   꿈을 꾸는 순간을 어떻게 포착했고 또한 치유가 되는 꿈을 어떻게 유도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특정한 꿈을 유도했고 또한 꿈의 내용을 꿈꾸는 순…
작성자harvard 작성일 10-11-05 19:53 조회 1215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