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관측 4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관측


 

Total 120건 4 페이지
별관측 목록
초기 천문학은 별들과 행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데 초점을 맞추었었다. 이것은 점성술과 연관된 것이었으나 후에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것은 별들과 행성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대두되었으며 상업적, 군사적 항해에도 요긴하였다. (물론 여러분도 알다시피 별들의 위치에만 의존하여 방향을 정해가던 항해는 최근에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과 같은 인공위성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신문이나 천문학 잡지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롭고 신선한 천체를 찾아내는데 망원경이나 쌍안경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4 조회 2388 더보기
지금부터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인 태양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매일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정오에 자오선을 통과하며 최고 높이에 도달하고, 서쪽으로 진다. 이렇게 태양이 자오선을 통과하여 다시 자오선을 지나기까지는 평균적으로 24 시간이 걸린다. "정오(noon)" 는 태양이 그 날 자오선 상에 있을 때를 말한다. 우리의 시계 바늘은 이러한 태양일(solar day)을 바탕으로 하여 움직인다. 일출과 일몰 때, 지평선에서 태양의 위치는 일년동안 계속적으로 변한다. (하지만 천구의 적도는 항상 지평선의 정동쪽과 정서쪽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3 조회 1522 더보기
이제부터는 천구의 기준점과 기준선(Reference Makers)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별들은 천구의 북극과천구의 남극의 둘레를 돈다. 지리적으로 남반구와 북반구의 하늘에는 각 각 남극점과 북극점이 있다. 천구의 남북극을 잇는 천구축은 지구 자전축의 연장축이다. 또 지평선에서 관측자가 서 있는 곳까지 위쪽으로 올라간 각도 만큼에 해당하는 곳이 그 관측자의 위도이다. 북반구에는 천구 북극으로 표시될 만한 별이 있는데 천구 북극에서 매우 가까운 이 별은 북극성 또는 폴라리스라고 부른다 . 다른 주요 기준점(Reference Mak…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3 조회 1995 더보기
가상의 천구상에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미터나 킬로미터의 단위 대신 우리는 "하늘에서의 각(angles)" 의 개념을 도입해 사용한다. 원의 총 각도는 360도이고 직각은 90도이다. 1도는 60아크(=호)분이다. 각의 개념으로 볼 때 축구 경기장 길이의 호에서 25센트 동전의 길이는 약 1아크분에 해당하는 길이이다. 1아크분은 다시 60개의 아크초로 나누어진다. 볼펜 끝의 볼은 축구경기장 길이의 호에서 보면 1아크 초에 해당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태양과 달의 길이는 각 각 직경 0.5도이고 이는 30아크분이다. 지극성(큰곰자리의…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2 조회 1042 더보기
지구를 둘러싼 하늘이 거대하고 속이 텅 빈 "구(sphere)"라고 생각해보라. 하늘의 별들은 이 구에 다닥다닥 붙어서---그들 중 몇 몇은 다른 별들보다 더 크거나 밝다---우뚝 서 있는 지구의 둘레를 약 24시간을 주기로 한 바퀴씩 돈다. 반대로 , 별들은 그 구에 난 구멍들이고 구 너머의 하늘에서 오는 빛들이 이 구멍을 통해 우리에게 온다고 상상해보라. 이러한 상상의 구를 천구(celestial sphere)라 하고 그 크기는 너무나 광대하여 지구의 어디에서도 하늘의 별들은 가깝지가 않다. 그러므로 하늘은 항상 우리 위치을 중…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1 조회 1097 더보기
지금 여러분은 아마도 천문학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늘 지구에만 있기 때문에 생기는 여러가지 어려움도 느낄 것이다. 그러면 하늘에 떠 있는 저 구름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 지금부터는 우리의 관심을 그 쪽으로 돌려보자. 이번 단원에서는 어디에서 밤하늘에 대한 핵심을 찾을 수 있을지와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좌표계, 행성들 사이에서 의 태양 위치의 변화 그리고 그것은 연간 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늘 보아오는 달의 위상의 변화와 여러가지 식(eclipses)들 에 대해서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10 조회 1137 더보기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은 질량 주변의 시공간의 휨으로 설명한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4차원의 시공간은 휘어있다. 이에 대한 복습을 하고 싶으면 상대성 이론이 나온 장을 보길 바란다. 휘어진 시공간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2차원의 공간이 3차원으로 휘어진 비유를 쓰도록 하자. 당신이 풍선의 표면위로만 움직일 수 있다고 하자. 그래서 당신은 앞, 뒤, 왼쪽, 오른쪽으로는 갈 수 있지만 위, 아래로는 갈 수 없다고 하자. 이 2차원의 공간에서는 세번째 차원(위, 아래)을 볼 수 없다. 이 공간은 평탄하게 보이지만 평탄하지 않다는…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8 조회 1205 더보기
수백만광년의 스케일로 보면 우주는 균일하다고 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주모델이 간단해지고 우주를 이해하는 것이 의미가 있게 된다. 만약 우주에서 우리가 사는 부분이 다른 곳과 매우 다른 특이한 상태라면 우리 주위를 관찰해서 우주 전체를 짐작하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나 은하군같은 것을 보면 우주가 균일하나는 가정이 틀린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그래도 매우 큰 스케일에서는 우주에는 그러한 은하군이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발견되고 있으므로 우주전체를 균일하다고 보아도 된다. 이것은 콩밥과 같다. 콩이 밥에 드문드문 섞여 있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7 조회 971 더보기
에드윈 허블과 밀톤 휴머슨은 1920대에 우주가 정상(움직이지 않음)적이 않고 팽창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사실만 가지고도 파라독스는 풀릴 수 있다. 우주가 팽창해 감에 따라 빛의 파장이 늘어 나게 되고 그 에너지는 줄어 드는 것이다. 그리고 광자가 방출되어 우리 눈에 들어 오는 시간동안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광도 = 에너지/시간 이라는 공식에 비추어 볼때 우주의 팽창은 별빛을 어둡게 하여 밤하늘을 어둡게 보이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광파가 늘어가는 현상때문에 은하에서 오는 별빛들은 적색이동이 되는 것 처럼 보인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7 조회 993 더보기
맨눈을 가지고 관측할 수 있는 또다른 사실은 밤하늘은 어둡다는 것이다. 만약 우주가 무한하고 영속적이고 움직이 않는다면 하늘은 언제나 낮처럼 불타고 있어야 할 것이다. Heinrich Olbers(1758--1849) 에 의해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처음으로 이 문제를 제기한 사람은 Thomas Diggers라는 사람이었다. 그는 1576년에 이 문제를 제기 했고, 케플러가 1610년에 그 문제에 대해서 말했으며 Edmund Halley와 Jean Philippe de Cheseaux가 1720년대에 그…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6 조회 1073 더보기
블랙홀들은 (그 이론적 반경이) 고작 수 마일이므로, 그것들은 너무 작아서 조금만 떨어져도 보기 힘들다. 별들의 배경에 대해 검은 원의 그림자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여러분은 그것의 주위 물질과 별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한다. 블랙홀이 짝을 이루고 있고, 볼 수 있는 블랙홀의 짝이 블랙홀에 충분히 근접해 있으면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짝을 이루는 상태에서 블랙홀의 두 개의 특징이 있다. 블랙홀과 볼 수 있는 별이 그들의 질량 중심의 주위로 궤도를 만들 것이다. 여러분은 블랙홀이 그것의 짝별 주위를…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5 조회 1011 더보기
만약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이 중력의 정확한 기술이라면, 몇몇 이상한 결론에 다다른다. 이 절에서는 중력장이 시공간을 휜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주장이 의미하는 바를 추측-관측 형식으로 살펴보겠다. 과학이론은 검증가능한 예측을 제시하고 이는 실험으로 검증되야 한다. 예측 : 무거운 물체주위를 지나가는 빛은 눈에 띌 정도로 휘어져아 한다. 휨의 정도는 질량이 커질수록 증가한다. 관측 : 일식때 태양과 같은 직선상에 있는 별들이 바깥으로 휘어져 보인다. 이는 태양 뒤의 별에서 나온 빛이 태양쪽으로 휘어져서 지구에 도달하기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4 조회 1497 더보기
매우 강한 중력장에서는 뉴턴의 중력에 대한 해석은 부적절하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이 중력 효과를 설명하는 데 쓰여야 한다. 아인슈타인은 힘에 대한 보통의 뉴턴식 해석으로 중력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중력은 질량을 가진 물체 주위의 시공간이 구부러지거나 뒤틀림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이다. 중력이 커질수록 더 많은 시공간이 구부러지거나 뒤틀린다. 시공간이란 무엇인가? 보통 생각되는 것처럼, 시간은 공간으로부 터 분리되거나 독립되어 있지 않다. 아인슈타인은 그의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 빛의 속도는 어떤 두 관측자에게…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4 조회 1744 더보기
잔해의 중심이 태양 질량의 3배보다 클 경우에 강하게 압축되어서 양자화된 중성자들도 그들의 중력을 이길수가 없게 된다. 중력은 마침내 모든 물질들을 수학적인 중심의 위치로 압축해 버린다. 그 점 질량이 블랙홀이다. 가장 무겁고 매우 희귀한 별(태양의 10배이상의 질량) 이 죽으면 블랙홀을 형성한다. 핵이 내파 되어 질 때 중성자 별을 만드는 것은 초신성 폭발로 충분하다. 탈출속도점질량의 중력은 어떠한 물질도(빛 조차도) 중심에 가두어 버리기에 충분한 중력을 가진다. 점질량 으로 부터 어떤 거리에서 탈출속도는 빛의 속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3 조회 959 더보기
1960년 후반기에 천문학자들은 1초보다 작은 데서 수초의 주기를 지고 아주 규칙적으로 맥동하는 전파원을 발견했다. 그 주기는 아주 정하다. 오직 초 정밀도를 가진 원자시계만이 그 주기에 미세하게 반거린다. 처음에 일부 천문학자들은 외계 생명체가 보낸 신호를 골라다고 생각했다. 새로운 펄서를 몇 개 더 발견한 뒤고 그 생각은 신뢰를 잃게 되었다. 그것들은 펄서(맥동하는 별의 줄임말)라고 불리는 자연 현상이다. 표준 변광성들은 크기와 온도가 변하기 때문에 밝기가 변한다. 별의 밀도로부터 맥동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밀도가 큰…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2 조회 1582 더보기
핵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4-3배 사이면, 별의 중력에 의한 압축은 매우 커^M 서 양성자가 전자와 융합해 중성자가 된다. 그러면 핵은 초고밀도 중성자 공^M 이 된다. 매우 드물게 무거운 별들이 초신성 푹발의 이 잔존물을 형성한다. ^M 중성자는 전자보다 더 압축될 수가 있어서 중성자별이 백색 왜성보다 더 무^M 거워진다. 그것은 도시 하나 크기밖에 되지 않는다. 중성자는 축퇴하고 그 압력에 의해서 더 이상 붕괴되는 것을 막는다. (중성자 축퇴 압력) 중성자별은 직경이 약 30킬로미터이고, 따라서 밀도는 백색거성의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1 조회 1050 더보기
고립된 백색 왜성은 지루한 미래를 가진다: 식어가고 보이지 않게 희미해져 갈 뿐. 동반성이 아직 주계열성이거나 적색 거성인 쌍성계의 백색 왜성은 훨씬 흥미로운 미래를 가진다. 만약 백색 왜성이 적색 거성이거나 주계열성 인 자신의 동반성에 충분히 가까이 있다면 동반성에서 나오는 가스는 백색 왜성 위로 떨어질 수 있다. 동반성의 외곽층의 수소가 풍부한 가스는 백색 왜성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백색 왜성의 중력에 의해 점점 압축되고 뜨거워 져 간다. 결국 수소 가스는 밀도가 높아지고 뜨거워져 핵반응이 시작된다. 반응은 폭 발적인 속도로…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3:00 조회 1021 더보기
백색 왜성들은 적은 질량의 적색거성의 바깥층이 행성상 성운을 만들기 위해 부푸는 것처 럼 만들어진다. 적은 질량의 별들이 백색왜성을 만들기 때문에, 이 remnant의 타입은 별의 진 화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종말이다. 만약 핵의 남은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하라면 축퇴 전자 로부터 생기는 압력(degeneracy pressure라고 불리는)은 전자들간의 충돌을 막기에 충분하다. 약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이 지구 크기로 압축되기 때문에 그 밀도는 엄청나다.(약 물의 106 배로 각설탕만한 크기의 백색왜성기체의 질…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9 조회 1506 더보기
가스가 초 압축되었을 때 입자들은 축퇴(degenerate)된 가스라는 것을 만들기 위해 서로 충돌한다. 그리고 그 가스는 고체처럼 되어있다. 일반적인 가스는 가열되거나 팽창될 때 더 높은 압력을 낸다. 그러나 축퇴 가스 속의 압력은 오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양자역학의 법칙은 초고압의 가스에 사용됨이 틀림없다. 첫번째 법칙은 단지 어떤 에너지는 가깝게 한정된 공간에 허락된다는 것이다. 입자들은 에너지 사다리의 발을 딛는 가로장처럼 배열된다. 일반적인 가스에서 대부분의 에너지 준위는 채워지지 않으며 입자들은 움직이는 것 이 자유롭…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8 조회 1306 더보기
성단 color-magnitude 도표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 더 무거운 별들은 가벼운 별들보다 빨리 진화한다. 뜨겁고 밝은 main sequence 별들은 차갑고 어두운 main sequence 별들보다 빨리 죽는다. 이것은 오래된 성단은 아직 main sequence 상에 있는 가벼운 별들만 가지고있고 반면에 젊은 성단은 main sequence 상에 있는 무거운 별과 가벼운 별 모두 가지고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계열상에있는 가장 무거운 별은 성운의 나이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main sequence에서 그 점을 main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7 조회 1082 더보기
게시물 검색